박범신 작가·명지대 교수
“야, 요것이 어찌된 셈판이냐.” 시골에서 올라온 형님이 말씀하셨다. “방송법이나 신문법이 뭔지 나는 잘 모른다만, 좌우간 이에 대한 헌법재판소 판결은, 투표과정이야 ‘개판’이었지만 그 결과인 방송법은 살아있다 그 말이라는데, 허어, 적삼 벗고 은가락지 끼는 미친 것들도 더러 있는 세상이라지만, 나는 대체 이게 무슨 말인지를 모르겠다. 축구로 치면 오프사이드해서 골을 넣었다고 해봐라. 그 골이 골이냐 노골이냐.” 기침하는 형님께서 튀겨내는 침방울이 자꾸 내 앞으로 날아와 한발 슬쩍 비켜서면서 내가 추임새를 넣는다.
“그게 아니구요, 형님. 헌재의 판결은 말하자면 과정이 잘못됐으니깐 국회에서 다시 검토해 뒷말 나지 않게 처리하라, 뭐 그런 뜻이겠지요.” “하이구, 얘가 명색이 작가라면서 여드레 삶은 호박에 송곳도 안 들어갈 소리 하고 자빠졌네!” 형님의 침방울이 한 자쯤 더 뻗어 나온다. “다시 모여 선은 이렇고 후는 이렇고 하니 이리 처결하자 할 국회면, 그 문제가 헌재까지 갔겠냐. 국회가 그러지 않을 거라는 것은 헌재도 알고 우리집 똥강아지도 알어 야. 결과가 그렇잖어? 아따, 뻔한 걸 가지고 눙치려는 니놈 해석이 더 얌통머리 없어 뵌다.”
형님은 실눈을 뜨고 창 너머, 잿빛 겨울숲 북악을 눈 흘기듯 보다가 다시 암팡진 눈빛으로 “한편”, 하신다. 화제를 전환할 때 “한편” 하고, 변사 같은 목소리로 포석을 놓는 것은 형님의 평생 버릇이다.
“한편, 세종시 말인데, 세종시 하면 여야가 숙의한 끝에 이리저리 하기로 법까지 만들어 통과시킨 것 아니냐. 뭐 우리 같은 사람도 나라에서 그렇게 한다니까 진즉에 다 동의했던 것이구. 한데 이제 와서 계획대로 안 하겠다고 하면, 내 밥 먹은 개가 발뒤축 무는 격 아니고 무엇이냐?” 형님은 세종시 때문에 농토를 팔고 다른 대토를 아직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분이다.
“참 형님도. 안 하겠다는 게 아니라 합리적으로 바꿔 하겠다는 거지요.” “헛, 합리 같은 소리 하고 자빠졌네, 야가. 너까지 많이 배웠다고 속곳 열어 뵈고 딴소리 하려 드냐. 그러다간 모진 놈 옆에 있다가 벼락 맞는 수가 있는겨. 배운 거 없으나 내게 자부심이 있다면 평생 손바닥 뒤집듯이 말 바꾼 적 없고 말과 행동을 따로 나눈 적이 없었다는 거야. 자고로, 말의 선후가 딱 맞아떨어져야 백성이 믿고 소금섬을 물로 끌라고 해도 끄는 법이다!” 나는 말없이 형님의 빈 잔에 막걸리를 따른다.
“폐일언하고”라고 한참만에 형님이 덧붙인다. “폐일언하고, 방송법은 과정이야 불법이라 할망정 법이 통과됐으니, 선후 재론할 것 없이 그 ‘결과’를 우직하게 밀고나가 시행해야 하겠고, 세종시 문제는 이러저러하니 그 ‘결과’를 뒤집어야겠다 하는데, 이를 어찌 받아들여야겠냐. 일구이언은 이부지자(二父之子)라 했거늘, 나는 도무지 어찌된 셈판인지 모르겠다. 나야 뭐 어떤 길이 나라에 보탬이 되는지 딱 부러지게 말할 만한 식견은 없다마는, 혼자 누워 있으면 괜히 높은 양반들이 나 같은 놈 갖고 노는 거 같아서 기분이 영 찜찜하더라. 너는 최소한도로다가 한 입으로 두말하며 살지 마라. 너야 글장이니 당을 바꿔 타고 말고 할 일은 없겠지만, 언젠가 글만 쓰겠다면서 대학선생을 관두더니 몇 년 지나고 다시 기어들어간 일 있어 당부를 해두는 것이다 응.”
형님의 말씀이 여기에 이르자 “하이고오, 형님!” 하고 나는 고개를 숙이고 만다. 기어코 신종플루 의심환자인 형님의 침방울이 그놈의 ‘높은 양반들’ 때문에 난데없이 내 정수리로 날아오고 만 것이다. 정수리가 송곳에 찔린 듯 아프다.
박범신 작가·명지대 교수
박범신 작가·명지대 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