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현산 고려대 불문학과 교수, 문학평론가
지난 70년대에, 한국 땅에서 외국 책으로 공부한 사람은 서대문 국제우체국의 ‘미스 아무개’를 기억할 것이다. 지금이야 외서를 사는 일이 믿어지지 않을 만큼 쉽다. 아무 인터넷 서점에나 들어가 원하는 책을 찍어 장바구니에 담고 신용카드로 계산을 끝내면 보통은 보름 안에, 늦어도 한 달 안에 책이 집이나 학교로 배달된다. 이 절차가 너무 간편해서 나쁜 추억을 가진 사람을 오히려 눈물겹게 한다.
그 시절에는 외국에서 책을 들여오는 일이 ‘꿈은 이루어진다’ 같은 표어를 내걸고 감행해야 하는 일대 사업이었다. 먼저 외국의 서적상에게 살 책의 목록과 편지를 보내 청구서를 받은 다음 외환관리 당국에 외화 사용 허가를 받아야 한다. 그러고는 은행에서 송금수표를 끊어 외국의 서적상에게 보낸다. 이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는 보장은 물론 없지만, 아무튼 수표를 보내고 나면 책은 선편으로 빠르면 3개월 뒤에, 늦으면 반년 뒤에 한국 땅에 들어온다. 그렇다고 책이 바로 수중에 들어오는 것은 아니다. 또 하나의 절차, 거의 투쟁에 가까운 절차가 남아 있다.
구입한 책은 서대문 국제우체국에서 찾아와야 한다. 국제우체국은 책을 전달하는 일 외에 통관 업무를 담당했는데, 이 업무의 마지막 부분이 바로 ‘미스 아무개’의 소관이었다. 우체국에서 보낸 통지서와 주민등록증을 가로지른 시멘트 대 위에 내밀면, 그녀는 한번 힐끗 얼굴을 들어 거들떠보고는, 마지못한 듯 입을 연다. “이거 서적이지요? 다음 주일에 한번 더 와 보세요.” 다음 주일이라고 책을 내준다는 확답이 없으니 발길이 더욱 처참하다.
어느 날 나는 그렇게도 읽고 싶은 책을 눈앞에 두고도 읽지 못하는 안타까움을 조심스럽게 말했더니, 도리어 그쪽에서, 서적 통관이 쉬운지 아느냐, 사회주의를 찬양하는 책이라도 있으면 어쩔 거냐고 공격한다. 이 책들은 그런 책하고는 거리가 멀며, 문학에 관한 이론서일 뿐이라는 내 설명을 무지르고 다시 돌아오는 대답이 이렇다. “책 내용을 그렇게 잘 알면서 왜 책은 사세요?” 나는 어떻게 하겠다는 생각도 없이 창구의 가로대를 뛰어넘었다. 다행히 그녀의 뒷자리에서 나이 든 직원이 달려나와 내 팔을 붙들고는 책 꾸러미를 손에 쥐여 주었다. 나는 미친 사람처럼 소리를 지르며 밖으로 나왔다. 내가 공부를 하는데 국가가 왜 방해를 하느냐, 아마 이런 말이었으리라.
생각하면 우습다. 지금 같으면, 커피라도 한 잔 뽑아 가 ‘미스 아무개’에게 권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럴 수 없었던 것이, 당시에는 자판기가 없었을뿐더러, 무엇보다도 그때가 유신시대였기 때문이다. 그 시절에 우리는 모두 괴물이었다. 불의를 불의라고 말하는 것이 금지된 시대에 사람들은 분노를 내장에 쌓아두고 살았다. 전두환의 시대가 혹독했다 하나 사람들을 한데 묶는 의기가 벌써 솟아오르고 있었다. 유신시대의 젊은이들은 자기 안의 무력한 분노 때문에 더욱 불행했다.
그래서 나는 요즘 대학생들 편에서 박정희를 가장 훌륭한 대통령으로 존경한다는 말을 들으면 저 우체국 창구를 뛰어넘을 때와 같은 충동을 다시 느낀다. 학생들의 입장에서라면, 한때의 압제와 불의는 세월의 강 저편으로 물러나 더 이상 두려울 것이 없으니, 그렇게 어떻게 이루어졌다는 경제적 성과를 두 손으로 거머쥐기만 하면 그만일 것이다. 과거는 바로 그렇게 착취당한다.
어떤 사람에게는 눈앞의 보자기만 한 시간이 현재이지만, 어떤 사람에게는 조선시대에 노비들이 당했던 고통도 현재다. 미학적이건 정치적이건 한 사람이 지닌 감수성의 질은 그 사람의 현재가 얼마나 두터우냐에 따라 가름될 것만 같다.
황현산 고려대 불문학과 교수, 문학평론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