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재/한겨레경제연구소장
삶과경제
처음 유학길에 올랐을 때 이야기다. 내가 속했던 경영대학원의 엠비에이 과정에서는 대부분의 수업을 팀별 프로젝트 수행 형식으로 진행했다. 팀 동료에 따라 성적과 졸업 여부가 좌우될 수 있었다.
학교에서 강제로 배정해 준 여섯 명의 팀 동료는 그 배경이 정말 다양했다. 미 해군 장교이며 미식축구광인, 당연히 매우 보수적인 팀원이 있는가 하면, 스페인 바스크 지방 출신의 사회주의자 컨설턴트도 있었다. 바이오 벤처기업에서 일하던 과학도가 있는가 하면, 정당에서 선거운동을 하던 팀 동료도 있었다. 서로 도무지 대화가 이어지지 않던 첫 팀 회의를 마치고 집에 들어온 순간, 그대로 거실 바닥에 드러누워 버렸다. 과연 이들과 어울려 학교생활을 무사히 마칠 수 있을까?
나중에 알고 보니, 학교 쪽에서는 일부러 서로 다른 사람들을 같은 팀에 배치했다고 한다. 생각이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경영을 배울 수 있다는 취지도 알게 됐다. 학교 쪽 생각이 옳았다. 결국 나의 팀 동료들은 졸업 뒤에도 문제에 부닥쳤을 때 연락할 수 있는, 국적과 가치를 초월한 국제 네트워크가 됐다.
추석 직전 문을 연 ‘사회적 기업가 엠비에이(MBA)’라는 이름의 경영교육 과정에서 나는 일종의 데자뷔(기시감)를 경험했다. 30여명의 수강생은 놀라울 만큼 다양했다. 평생 농민이 잘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데만 힘을 쏟던 농민운동가도 있었다. 대학병원의 경영을 맡고 있는 의료경영 전문가도 있었다. 내로라하는 대기업의 중견사원이나, 중소기업 경영자, 변리사와 노무사 같은 전문직도 있었다.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을 해보려 한다는 점뿐이다.
과거 같으면 전혀 만날 필요를 느끼지 못했을 법한 사람들이 모여, 한 학기 동안 경영이론 강의도 듣고 경영사례를 놓고 토론하기도 하며 사업 아이디어를 개발한다. 군인과 사회주의자, 과학도와 정치전문가가 팀 프로젝트를 함께 수행하는 외국의 엠비에이 과정과 꼭 닮았다. 다양한 가치가 어울려야 성공할 수 있다는 시대의 흐름을 국내외에서 확인한 셈이다.
세상은 점점 더 복잡해진다. 일류대학을 나오고, 전문 자격증이 있고, 시험 성적이 좋다고 해도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점점 더 많아진다. 같은 방식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짜내는 아이디어는 한계가 있다. 전혀 다른 배경과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내놓는 혁신적 아이디어가 점점 더 많이 필요해진다. 다양한 경험과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이 모일수록 조직이 활용할 수 있는 문제해결 도구가 늘어나는 셈이다.
미국 미시간대 스콧 페이지 교수는 최근 낸 <다름: 다양성은 어떻게 더 나은 집단, 기업, 학교, 사회를 창조하는가>라는 책에서 이를 통계학적으로 입증했다. 페이지 교수는 다양성이 높은 뉴욕 같은 도시가 생산성이 높고,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이사가 포진한 이사회가 더 나은 결정을 내리며, 직원의 배경이 다양한 기업이 더 혁신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국내에서도 다양성은 경영의 주요 테마로 떠오르고 있다. 기업 경영도 영리뿐 아니라 사회적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는 사회책임 경영이 화두다. 자연스레 사회적 가치를 이해하는 임직원이 필요하다. 한편 비영리조직도 효율성을 높이려면 경영전문가가 나서야 한다는 논의도 있다. 고용 다양성을 높이려는 적극적 고용개선 조처가 펼쳐지는가 하면, 대학 입시에 소수자 배려 규정을 넣기도 한다. 모두 다양성을 높이려는 노력이다.
우리가 다양성을 추구해야 하는 것은 올바르기 위해서만은 아니다. 성공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다양성이 생산성으로 연결되는 사회가 오고 있다.
이원재/한겨레경제연구소장 timelas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