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유레카] 손자와 한-미 FTA / 김병수

등록 2006-07-12 19:39수정 2006-07-13 10:12

김병수 논설위원
김병수 논설위원
유레카
손자병법을 낳은 손자(손무)는 “병력이 적의 열 배면 포위하고, 다섯 배면 공격하며, 갑절이면 병력을 나누어 적을 상대하고, 대등하면 맞서 싸워야 하며, 적으면 능숙하게 퇴각하고, 상대가 되지 않을 정도로 열세면 교전을 피해야 한다”고 했다. “적을 알고 나를 알면 위태롭지 않게 이길 수 있다”(知彼知己 勝乃不殆)도 흔히 인용되는 말이다. 전국시대 연나라는 작은 나라면서도 합종연횡의 외교력과 철저한 준비 끝에 대국인 제나라에 큰 승리를 거뒀다. 손자는 ‘지피지기’ 뜻을 함축한 지(知)에 대해 손자병법에서 79차례나 언급했다고 한다. 그러나 연나라는 제나라 함락을 눈앞에 두고 주장을 ‘악의’에서 ‘기겁’으로 바꾼 뒤에 큰 반격을 당한다. 기겁은 ‘먼저 전쟁을 벌인 후에 이길 방도를 찾는’(先戰而後求勝) 인물의 전형이었다.(〈손자에서 직접 배운다〉)

손자병법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비춰보면 어떨까? 6월 초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1차 협상을 위해 한국은 146명에 이르는 대규모 협상단을 보냈다. 7월 서울의 2차 협상에 미국이 보낸 협상단은 80명이다. 협상단 규모로 보면 한국은 미국을 협공할 수도 있는 정도긴 하지만, 역설적으로 국력과 협상력 열세를 웅변할 뿐이다. 새로 얻어낼 것은 별반 없고 지킬 건 많으니 협상 인력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 국력과 협상력으론 싸움을 피해야 하는데 허장성세 부리는 형국이라면 지나친가. 작은 나라가 큰 나라와 겨루기 앞서 ‘지피지기’는 했을까? 협상 시작 과정을 보면 ‘선전 이후 구승’ 이 걸맞다.

손자는 정치적 조건도 강조했다. 이기려면 백성과 군왕의 바람을 일치시켜 위아래가 같은 마음을 가지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도 없으니, 손자가 살아 한-미 자유무역협정 협상에 나선 한국을 보면 뭐라고 할까?

김병수 논설위원 byungs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서부지법 폭동 군중의 증오는 만들어진 것이다 [박현 칼럼] 1.

서부지법 폭동 군중의 증오는 만들어진 것이다 [박현 칼럼]

[사설] 김용현 궤변 속 계엄 찬성했다는 국무위원 밝혀내야 2.

[사설] 김용현 궤변 속 계엄 찬성했다는 국무위원 밝혀내야

윤석열은 왜 이리 구차한가 3.

윤석열은 왜 이리 구차한가

분노한 2030 남성에게 필요한 것 [슬기로운 기자생활] 4.

분노한 2030 남성에게 필요한 것 [슬기로운 기자생활]

문제는 윤석열이 아니다 [김누리 칼럼] 5.

문제는 윤석열이 아니다 [김누리 칼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