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강석기의 과학풍경] 육류 섭취 줄이고 채소 늘려봐요, 지구 아닌 나를 위해

등록 2022-12-06 15:33수정 2022-12-06 19:01

채소 속 플라보노이드, 비만 억제·지방간 완화
육류 카르니틴·히스티딘, 동맥경화·당뇨 악화
채소와 과일에 들어 있는 플라보노이드는 그 자체로 장에서 흡수되는 종류도 있지만 장내 미생물이 먹고 대사한 뒤 내보낸 물질이 흡수돼 작용하는 종류도 있다. 케일 등 채소에 풍부한 캠퍼롤이 그런 예로 장내 미생물의 네가지 효소가 작용해 4-HPAA로 바뀐 뒤 배출된다. 미국국립과학원회보 제공
채소와 과일에 들어 있는 플라보노이드는 그 자체로 장에서 흡수되는 종류도 있지만 장내 미생물이 먹고 대사한 뒤 내보낸 물질이 흡수돼 작용하는 종류도 있다. 케일 등 채소에 풍부한 캠퍼롤이 그런 예로 장내 미생물의 네가지 효소가 작용해 4-HPAA로 바뀐 뒤 배출된다. 미국국립과학원회보 제공

강석기 | 과학칼럼니스트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로 올겨울 추위가 더 춥게 느껴진다. 기후위기로 인한 흉작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곡물과 화석연료 가격이 급등한 결과다.

육류와 유제품, 가공식품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지만, 다행히 쌀을 비롯해 배추와 무 등 채소와 사과와 귤 등 과일은 풍작이어서 예년보다 부담이 덜하다. ‘그럼 풀만 먹으란 말인가?’ 이렇게 생각할 독자도 있겠지만 조금 들여다보면 상황이 그렇지 않다.

우리나라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은 1970년 5.2㎏에서 2020년 54.3㎏으로 50년 새 10배나 늘었다. 세계 평균보다 10㎏ 더 먹는다. 유엔 등은 사람뿐 아니라 지구의 건강을 위해 육류 섭취량을 지금의 3분의 1 수준으로 줄이라고 권고한다.

그렇다면 1인당 육류 19.9㎏을 섭취하던 1990년께가 이상적이었을까. 당시는 지금보다 쌀은 물론 배추와 무, 마늘 같은 채소를 더 먹었지만, 차츰 육류와 수입한 밀로 만든 빵과 면류, 과자에 밀려났다. 과일은 국내 과일은 약간 줄고, 수입 과일이 크게 늘었다.

흥미롭게도 지나치게 먹어 건강에 해로운 음식은 비싸고, 몸에 좋지만 적게 먹는 음식은 싸다.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가 서민들을 그나마 건강에 좋은 식단으로 유도하는 셈이니 다행이랄까. 이런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갖는 데 도움이 될 최신 연구 결과를 소개한다.

채소와 과일에 들어 있는 성분인 플라보노이드(식물성 폴리페놀)는 항산화, 항염증 효과 등으로 건강에 좋다고 알려졌지만, 체내 흡수가 잘 안돼 그 작용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장에 사는 미생물이 소화 과정에서 흡수되지 못한 플라보노이드를 먹고 내놓는 물질이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내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지난주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는 고지방 먹이를 준 생쥐에게 케일과 시금치 등 채소에 많이 들어 있는 플라보노이드인 캠퍼롤을 투여하자 장내 미생물이 4-HPAA라는 물질로 바꿔 비만을 억제하고 지방간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보였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2018년에는 감귤류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인 나린제닌이 비만과 동맥경화를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육류를 지나치게 섭취했을 때 건강에 부정적인 효과 역시 단순히 포화지방 때문이 아니라 고기에 많이 들어 있는 영양소를 장내 미생물이 대사할 때 내보내는 산물 때문이라는 사실도 밝혀졌다. 즉 육류에 풍부한 카르니틴은 장내 미생물의 작용으로 티엠에이(TMA)로 바뀐 뒤 간에서 티엠에이오(TMAO)라는 물질로 변환돼 동맥경화를 촉진한다. 또 고기에 많이 들어 있는 아미노산인 히스티딘 역시 장내 미생물이 이미다졸 프로피오네이트라는 물질로 바꿔 내보내 당뇨 증상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9월 전국한우협회는 올해 예상 육류 소비량이 56.5㎏으로 처음으로 쌀 소비량(54.1㎏ 예상)을 넘어설 것 같다고 발표했다. 우리 건강에 빨간불일 뿐 아니라 기후위기 대응에 거꾸로 가는 상징적인 장면이 될 것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나의 완벽한 상사 [세상읽기] 1.

나의 완벽한 상사 [세상읽기]

나르시시스트 지도자 손절하기 [뉴스룸에서] 2.

나르시시스트 지도자 손절하기 [뉴스룸에서]

[사설] 이재명표 실용이 ‘주 52시간’ 완화로 이어져선 안 된다 3.

[사설] 이재명표 실용이 ‘주 52시간’ 완화로 이어져선 안 된다

[사설] 이재용 항소심도 전부 무죄, 검찰 수사 실패 돌아봐야 4.

[사설] 이재용 항소심도 전부 무죄, 검찰 수사 실패 돌아봐야

‘사상 검증’, ‘연좌제’ 시대로 돌아갔는가? [권태호 칼럼] 5.

‘사상 검증’, ‘연좌제’ 시대로 돌아갔는가? [권태호 칼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