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오피니언 칼럼

시인의 사랑니

등록 2022-03-31 18:31수정 2022-04-01 02:31

[삶의 창] 홍인혜 | 시인

더는 미룰 수 없다. 치과에 가야 한다. 어른이 되어 제 신체를 관리하고 산 지 수십년이 지났음에도 치과 방문은 늘 미루게 된다. 미룰수록 큰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사실을 익히 알고 있음에도, 코끝에 감도는 소독약 냄새나 치아에 파고드는 드릴의 진동, 두개골을 흔드는 그 쨍한 소음을 떠올리면 예약 전화를 걸 엄두가 안 난다. 치과에 가야 하는 이유는 사랑니 때문이다. 내 입 안에는 쓸데없이 성실하게 돋아난 상하좌우 네개의 사랑니가 있다. 제법 반듯하게 나서 큰 탈이 없는 한 데리고 살기로 했는데 야속하게도 문제가 생겼다. 칫솔이 잘 닿지 않는 곳이라 썩은 모양이다. 종종 시큰거리고 이따금 이 주변 잇몸이 부어 볼을 씹기 일쑤다.

아마 이번에 치과에 가면 네개의 사랑니를 모두 발치하라고 권할 것이다. 생니를 여러개나 뽑아야 한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치과행이 더욱 두렵다. 도대체 사랑니는 왜 돋아나 나에게 이런 고통을 주는지, 사랑니, 사랑니 단어를 입안에서 굴리다 문득 이 언어의 맛이 낯설고 신기하게 느껴졌다. 사랑니는 모두 알다시피 영구치가 모두 난 지 수년이 흐르고 성인이 될 무렵 느닷없이 돋아난 번외의 치아다. 영어로는 위즈덤 투스(wisdom tooth)로 ‘지혜 이’쯤 되는 것 같다. 서구권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비슷한 의미를 공유하고 있었다. 독일어로도 사랑니는 지혜와 이의 조합어이고, 프랑스어나 스페인어로도 판단력이나 슬기를 뜻하는 단어와 치아의 조합어가 바로 사랑니다. 문화를 공유하는 나라들이니 그럴 수 있겠다 생각했는데 놀랍게도 사랑니는 중국어로도 지치(智齿), 역시 지혜의 이를 말했다. 베트남어로도 같은 의미라고 한다. 아마도 성인이 되고, 사리분별이 될 무렵 상징물처럼 세워진 비석 같아서 모든 나라에서 그런 명칭을 붙였으리라.

물론 모든 언어가 똑같지는 않았다. 사랑니는 인도네시아어로는 ‘막내 이’ 정도의 의미였고, 일본어로는 ‘근본을 알 수 없는 이’라는 재미있는 뜻이 있었다. 고개가 끄덕여졌다. 사랑니는 꼴찌로 나온 이이고, 난데없이 등장한 존재니까. 그런 것에 반해 우리말 ‘사랑니’는 참 독특하고 흥미롭다. 사랑을 알 무렵 태어난 치아라는 의미가 직관적으로 다가오긴 하지만, ‘사랑’이라니 신체 부위에 붙이기에 사뭇 낭만적인 칭호였다. 사랑뼈, 사랑살, 사랑관절 같은 단어를 떠올리면 단박에 어색한 기분이 들지 않나. 하지만 이 치아는 ‘사랑니’인 것이다. 생각할수록 절묘한 것이 사랑니는 정말 사랑과 닮아 있다. 사랑니가 날 무렵을 돌아보면 잇몸이 두근두근하고 시큰시큰한 낯선 감각에 시달렸던 기억이 난다. 잇몸은 피가 몰려 더 붉게 부풀었을 것이다. 사랑에 빠진 심장처럼. 그리고 어느 날 혀로 매만져보니 문득 여태 없었던 희고 단단한 것이 이마를 내밀고 있었다. 거부할 수 없이 이미 내 것이 되어 뿌리내린 무언가가. 그리고 그것은 제멋대로 통제할 수 없이 커져가 미열과 통증을 선사했다. 오, 더할 나위 없이 절묘한 사랑의 메타포가 아닌가.

나는 이런 것에 매료된다. 국제정서를 따르자면(?) 이 치아는 ‘슬기이’ 정도가 자연스러울 수도 있다. 혹은 ‘나중니’나 ‘어른니’도 직관적인 이름일 것이다. 하지만 거기에 ‘사랑’을 데려오다니 최초의 명명자는 시인이 아니었을까? 그의 작명이 일반명사가 되었다는 지점도 근사하다. 그 머나먼 옛날 사람들이 그의 감성에 공감했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맞지, 사랑이 그렇게 쑤시고 시큰하지’ 하고 고개를 끄덕였다는 뜻 아니겠는가. 시절이 이렇게 바뀌고 가마가 전기차가 되고, 봉화를 올리다 메타버스에서 만나는 오늘에 이르기까지 사랑이라는 정서가 한결같다는 사실이 신기하다. 물론 치통의 역사도 그만큼 유구하다는 점은 애석하다. 나는 치과에 가야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오피니언 많이 보는 기사

법원 방화까지 시도한 10대 구속, 누구의 책임인가 [사설] 1.

법원 방화까지 시도한 10대 구속, 누구의 책임인가 [사설]

가스 말고, ‘공공풍력’ 하자 [한겨레 프리즘] 2.

가스 말고, ‘공공풍력’ 하자 [한겨레 프리즘]

[사설] 윤석열 구속기소, 신속한 재판으로 준엄히 단죄해야 3.

[사설] 윤석열 구속기소, 신속한 재판으로 준엄히 단죄해야

미국 민주주의의 종말일까 [세계의 창] 4.

미국 민주주의의 종말일까 [세계의 창]

눈 떠보니 깡패국가 [서울 말고] 5.

눈 떠보니 깡패국가 [서울 말고]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