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CDC “백신 맞아도 변이 감염 위험”
일 코로나 안 꺾여 올림픽 불안 확산
일 코로나 안 꺾여 올림픽 불안 확산

도쿄올림픽 성화 봉송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미 불참 땐 ‘연쇄 파장’…“올림픽 반대” 80% 넘는 여론도 변수
미국이 일본 여행 금지 권고를 결정하는 등 일본의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일본 정부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의지가 강해 여전히 도쿄 여름올림픽 개최 가능성이 더 높지만, 주요국 선수단이 불참하고 일본 내 반대 여론이 높아지면 올림픽 취소도 가능하다는 조심스러운 전망이 나온다.
마루카와 다마요 일본 올림픽 담당상은 25일 기자회견을 열어 “미국의 여행금지 권고에도 필요한 경우 도항(일본으로 오는 것)이 금지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올림픽에 직접적 영향은 없다고 밝혔다. 그는 “계속 ‘안전·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확보하도록 감염 상황 파악에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존 코츠 국제올림픽위원회 부위원장도 지난 21일(현지시각) 기자회견에서 “(올림픽 기간에) 일본의 긴급사태 선언이 있어도 대회를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7월23일로 예정된 도쿄올림픽은 코로나 감염 확산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외 관중 없이 치르기로 이미 결정됐으며, 새달 중 일본 내 관중을 어떻게 할지 최종 결정한다. 도쿄, 오사카, 홋카이도 등 주요 도시의 긴급사태가 계속될 경우 아예 무관중으로 선수들끼리 경기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일본 정부와 국제올림픽위원회가 절박할 정도로 강한 개최 의지를 보이는 가운데, 이를 꺾을 만한 ‘핵심 변수’로는 각국 선수단의 불참 선언이 꼽힌다. 지난해 3월말 사상 첫 올림픽 연기 당시에도 캐나다를 시작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선수단이 ‘보이콧’을 선언한 것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도쿄스포츠>는 미국의 ‘일본 여행 금지’ 권고에 대해 “미국 선수단의 올림픽 불참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언급하며 “스포츠 대국인 미국 선수단이 올림픽에 참가할 수 없게 되면 타국 선수단이 이를 따르는 사례도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다만 국제올림픽위원회가 “올림픽 재연기는 없다”고 밝힌 상태여서 각국 선수단은 위험을 무릅쓰고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이번에 취소되면 3년 뒤 파리올림픽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
이미 80%를 넘어선 일본 내 올림픽 반대 여론도 스가 요시히데 총리에겐 점점 더 ‘정치적 부담’이 되고 있다. 올림픽 직전인 7월4일 도쿄도의회 선거, 9월 자민당 총재 선거, 10월 안 중의원 총선거 등 굵직한 정치 일정이 몰려 있어 여론을 무시하기 힘든 상황이다. 일본 국민의 83%가 올림픽 개최에 반대하고 있는데도 스가 총리가 개최를 강행하면서 지지율이 역대 최저치(31%)로 추락한 상태다. 더욱이 여론에 민감한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가 7월4일 도의회 선거를 앞두고 전격적으로 ‘올림픽 취소’를 주장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정계에 파다하다.
하지만 올림픽 취소는 개최만큼이나 쉽지 않은 결정이다. 천문학적인 돈이 오가는 올림픽인 만큼 손해에 대한 책임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마이니치신문>은 “도쿄올림픽 취소 원인을 만든 쪽이 더 큰 책임을 질 수 있다”며 “아이오시와 일본 쪽이 누가 더 오래 참는지 겨루는 ‘치킨게임’에 임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