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도쿄/AFP연합뉴스, 워싱턴AF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의 첫 대면 정상회담은 오는 16일(현지시각) 워싱턴에서 열린다.
가토 가쓰노부 일본 관방장관은 2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미‧일 정상회담이 오는 16일 개최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에 앞서 일본 언론은 9일 두 정상이 만난다고 보도한 바 있다.
스가 총리는 올 1월 취임한 바이든 대통령과 대면으로 회담하는 첫 외국 정상이 된다. 가토 관방장관은 “스가 총리가 바이든 대통령과 첫 대면회담을 하는 것은 미국이 일본을 지극히 중시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일 동맹의 결속을 대외적으로 과시하는 동시에 인도‧태평양 지역에 대한 미국의 약속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매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일 정상회담에서는 중국을 견제하는 의제들이 상당수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요미우리신문>은 미‧일 정상회담에서 중국의 ‘일대일로’를 견제하기 위해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사회 기반시설 구축 사업에 협력하는 방안이 합의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기후문제를 생각해 탄소배출을 줄이는 발전설비나 5세대 이동통신(5G) 등의 기반시설 마련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미국과 일본이 기술을 활용해 차세대 축전지나 수소 에너지 등과 송전망이 일체화된 설비를 확대시켜 나간다는 구상이다. 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도시모델인 ‘스마트 시티’도 검토하고 있다. 이 신문은 “중국의 거대 경제권 구상인 ‘일대일로’를 의식해 인도‧태평양 지역의 기반 시설 정비에서 일‧미가 주도권을 잡겠다는 목적”이라고 전했다.
‘일대일로’는 2013년 시진핑 주석이 카자흐스탄을 방문해 처음 제기한 구상으로 고대 실크로드처럼 내륙과 해양에 다양한 길을 만들어 유라시아와 아프리카 대륙을 하나로 연결해 경제협력을 강화하자는 내용이다. 도로, 전력, 철도 등과 같은 기반 시설이 취약한 국가에 중국이 돈을 빌려주고 관련 시설을 지어주고 있다.
미·일 정상회담에서는 또 일본과 중국이 영유권 다툼을 하고 있는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가 미국의 일본 방위 의무를 규정한 미-일 안보조약 제5조에 적용대상이라는 것을 공동 문서에 담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중국 등 특정국에 의존하지 않는 희토류나 의약품 공급망을 구축한다는 내용도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