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하순께 미국에서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이 열릴 예정인 가운데 한‧일 양자 회담이 성사되기 어려운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외무성 간부의 말을 인용해 이달 하순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이 예정돼 있지만 “일본과 한국이 개별 외상(외교장관) 회담을 열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2일 보도했다. 지난 2월 정의용 장관 취임 뒤 전화통화 일정도 잡지 못하는 한‧일 외교장관 회담이 3자 회의를 계기로 이뤄질지 관심사였는데, 일본 정부의 분위기가 여전히 강경한 것으로 보인다. 모테기 도시미쓰 외무상은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개별 회담을 진행할 예정으로 알려져 있다.
모테기 외무상은 강창일 주일 한국대사가 부임한 지 두 달 가까이 됐는데도 면담에 응하지 않고 있다. 일본 외교가에선 강제동원 피해자와 일본군 ‘위안부’ 등 현안 문제에 한국 정부가 해법을 제시하지 않는데 대한 사실상의 대항 조치로 해석하고 있다.
이 신문은 또 “한국이 바이든 행정부로부터 대일관계 개선을 요구받고 있다”며 “북한의 핵‧미사일 대응에 한·미·일 공조가 관건이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문제 해결에 있어 일본의 양보를 기대하고 있다”며 “국제법 위반을 시정하라는 일본과 입장 차이가 크다”고 강조했다.
한편 모테기 외무상은 지난 1일 5개월 만에 도쿄에서 대면으로 이뤄진 한일 외교 국장급 협의와 관련해 한일간 대화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일한간 국장급 협의가 4시간 넘게 이뤄졌다”며 “어제 단계에서 한 번에 골이 메워지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일한 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돌리기 위해 이런 긴밀한 의사소통은 계속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한일 대화의 필요성은 인정했지만 현안에 대한 일본 정부의 입장을 고수하겠다는 뜻은 명확히 했다. 모테기 외무상은 “일본 쪽은 옛 조선반도 출신 노동자(강제동원 피해자)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의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며 “일본으로서는 그런 일관된 입장에 기초해 계속 한국 쪽에 적절한 대응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