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우편의 자동배송 로봇 모습. TV도쿄 갈무리
내년부터 일본 거리에서 물건을 배송하는 로봇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자동배송 로봇’이 거리를 다닐 수 있도록 올해 안에 도로교통법 등을 개정할 예정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물류‧택배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업계는 만성적인 일손 부족을 겪고 있어, 일본 정부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배송 로봇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2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정부는 소형으로 저속 주행하는 기종에 한정해 허가를 내주겠다는 방향”이라고 전했다.
일본에서 도입 예정인 자동배송 로봇은 목적지까지 경로를 입력하면 짐을 싣고 자동으로 주행하는 구조다. 로봇 안에 카메라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센서가 있어 장애물 등 주위를 인식할 수 있다. 지난해 10월 주행 실험을 한 ‘일본우편’의 배송 로봇은 휠체어 정도의 크기로 속도는 최대 시속 6km까지 낸다. 사람이 원격으로 조정하는 것도 가능해 예상치 못한 사태에 대응할 수 있다.
일본우편은 이 신문 인터뷰에서 “만성적인 인력부족뿐 아니라 코로나로 고객들이 비접촉 요구를 하는 사례가 많은데, 이런 부분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일본에서는 고객과 배달원이 접촉하는 경우가 많다. 고객이 사인이나 도장을 찍어 배달 받았다는 것을 확인하기 때문이다. 일본의 ‘탈도장’ 정책과 배송 로봇 상용화가 맞물리면서 이런 문화도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라쿠덴의 자동배송 로봇 모습. 라쿠텐 누리집 갈무리
자동배송 로봇을 개발하는 제트엠피(ZMP)는 거리 주행이 가능해지면 물류 거점이나 슈퍼, 음식점 등에서 고객이 원하는 장소까지 단거리 배송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송 로봇 시장에는 일본우편뿐 아니라,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라쿠텐, 미쓰비시상사가 주행 실험에 참여하는 등 일본 물류‧배달 업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