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오후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수도권 긴급사태 해제 관련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이 도쿄 신주쿠 빌딩에 걸린 대형 화면을 통해 보이고 있다. 도쿄/AP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코로나19 감염 확산 억제를 위해 선언했던 긴급사태를 21일까지 유지하고 해제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외국인 신규 입국 금지는 당분간 계속한다고 밝혔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18일 열린 코로나19 대책본부 회의에서 수도 도쿄도와 수도권인 사이타마현, 가나가와현, 지바현 4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유지되고 있는 긴급사태를 “21일을 기해 해제한다”고 밝혔다. 스가 총리는 도쿄 등 4개 지역에서 “신규 감염자 수가 80% 이상 감소했다”는 점 등을 해제 계획 이유로 들었다. 이에 따라 지난 1월 8일 재발효한 일본 긴급사태는 73일간 유지된 후 종료된다. 일본은 지난해 4월 7일∼5월 25일에도 49일 동안 긴급사태를 유지했다. 당시 신규 감염자 수는 하루 수백명 수준이었다. 그러나 올해 긴급사태를 재발효한 1월 8일은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엔에이치케이>(NHK) 방송 집계 기준으로 7949명이었다. 17일은 1535명으로 줄었다.
긴급사태 해제 이후에도 일본 수도권 음식점 단축 영업은 완화는 되지만 한동안 계속될 듯 보인다. 일본 수도권 4개 광역자치단체장들은 긴급사태가 해제된 뒤인 오는 22일부터 31일까지 술집 등의 영업 종료 요청 시간을 현행 오후 8시에서 9시로 한 시간 늦추기로 의견을 모았다.
일본 외무성은 18일 한국, 중국 등 11개 국가·지역에 대한 ‘비즈니스 트랙’ 왕래 중지, 모든 국가·지역으로부터의 신규 입국 중지 등은 당분간 계속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국외 체류 일본인의 귀국, 체류 자격을 보유한 외국인의 재입국, 특별한 사정이 있는 외국인의 신규 입국은 기존과 마찬가지로 인정한다. 도쿄올림픽 개최를 앞둔 일본 정부는 스포츠 선수 입국에 대해서는 특별한 사정을 인정해 입국을 허용하는 움직임이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정부가 이달 말 일본에서 열릴 U-24 축구대표들 간의 국제 경기를 위해 입국하는 외국 선수에 대해 코로나19 검사 등을 조건으로 입국을 허용하기로 했다며, 도쿄올림픽 모델 케이스가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