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북한의 6차 핵실험 직후 총리관저에서 기자들에게 입장을 밝히고 있다. 도쿄/AP 연합뉴스
3일 낮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강행하자 일본은 아베 신조 총리가 곧바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관계회의를 소집하는 등 신속하게 움직였다.
아베 총리는 이날 오후 1시9분께 총리관저에서 기자들에게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을 설명한 뒤 곧바로 국가안전보장회의 관계 각료회의를 소집했다. 아베 총리는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했다면, 결코 용납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회의 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북한의 이번 핵실험은 우리 나라 안전에 대한 중대하고 임박한 새로운 단계의 위협”이라며 “북한의 핵실험은 지역 및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현저하게 손상하는 것으로, 도저히 용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고노 다로 외상은 “중국 베이징의 대사관 루트를 통해 (북한이) 핵실험을 한 것이라면 결코 용인하기 어렵고, 유엔 안보리 결의 등을 위반한 것이라며 가장 강한 말로 규탄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에 대화의 의사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므로, 각국과 새로운 안보리 결의 채택을 위해 조율해 나갈 것”이라며 “제재 내용은 모든 선택지를 테이블에 놓고 지금부터 조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언론들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대외적으로 미국과의 협상력을 높이는 한편 내부 권력 기반 안정화를 꾀하기 위해 핵실험을 감행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교도통신>은 “앞으로 북한은 핵보유국으로서 미국과 대등한 입장을 주장하면서 미국의 대북 적대 정책 철회, 평화협정 체결, 한-미 군사훈련의 중지 등 기존의 요구를 반복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또 북한이 내부적으로 미국과 맞설 만한 핵전력을 완성했음을 강조하는 방법으로 권위를 높여 권력 기반의 안정화를 도모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엔에치케이(NHK)>는 중국의 향후 대응에 주목하며 “중국에 있어서 탄도미사일 발사보다 핵실험이 레드라인이었을 것”이라며 “중국 측의 대응이 주목된다”고 전했다. 일본은 최근 안보리 결의 등을 통해 북한에 대한 석유 수출 금지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