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 자료 사진 / 청와대사진기자단
아사히 “국민통합 외쳤지만 실패”
요미우리 “강경자세로 지지율 하락”
요미우리 “강경자세로 지지율 하락”
박근혜 대통령 당선 한돌을 맞아 일본의 진보와 보수를 대표하는 두 신문이 나란히 박 대통령의 독선과 비민주성을 지적했다. 일본 언론들이 악화된 한-일 관계의 책임을 일방적으로 따져 묻는 게 아니라, 박 대통령 집권 이후 후퇴한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근본적인 우려를 밝힌 것이라 주목된다.
일본의 진보매체를 대표하는 <아사히신문>은 23일 사설에서 “박 대통령이 선거에서 역설한 것은 ‘국민통합’이었지만 지금까지 상황을 보면 이것이 실현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현재 한국 정치의 갈등 원인은 “지난 대통령 선거를 둘러싼 정보기관의 부정한 개입 의혹”이라며 그동안 박근혜 정권이 보여온 행태를 꼬집었다. 이를테면 “경찰은 투표일 직전에 ‘개입이 확인되지 않는다’고 중간발표를 해 야당 후보에게 타격을 입혔지만, 선거 이후 경찰이 사실을 은폐했다는 것이 하나하나 판명됐다”고 짚었다.
아울러 “이를 수사하던 검찰총장이 혼외자 문제로 사임하는 등 이해하기 힘든 일들이 속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신문은 한국에선 “박 대통령과 아버지의 독재시대를 비교하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문은 지금의 난국을 돌파하려면 박 대통령이 ‘겸허한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민주화가 실현된 지 오래인 한국에서 수상쩍은 옛 체제를 부활시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그런 의혹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투명한 국정 운영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본 보수 유력지인 <요미우리신문>도 23일 “박근혜 정권이 22일 철도 민영화에 반대하는 철도공사 노조의 파업을 불법이라 몰아 대량 연행을 감행했다”며 “‘법과 원칙’을 정치신조로 내걸고 있는 박 대통령이 대화가 아니라 강경 자세로 임해 지지율이 떨어지고 ‘국민과 의사소통이 부족하고 독선적’이라는 비판이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