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일본

일 JR홋카이도 잇단 사고는 철도민영화 후유증

등록 2013-09-25 20:05수정 2013-12-17 09:01

JR훗카이도가 운영하는 하코다테선의 슈퍼 호쿠토 특급열차   위키피디아 제공
JR훗카이도가 운영하는 하코다테선의 슈퍼 호쿠토 특급열차 위키피디아 제공
170곳에서 이상 발견하고도 운행
적자 쌓인 탓 인재 확보도 어려워
마이니치 “40대 현장책임자 부족”
일부선 “강성노조” 탓하며 ‘물타기
‘안전 대국’ 일본에 큰 충격을 안긴 ‘JR홋카이도’ 사태의 배경에 철도 사영화의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본 철도회사 JR홋카이도는 지난 19일 하코다테선의 오누마역에서 화물열차 탈선사고가 일어난 뒤 철로 안전에 대한 일제 점검을 벌였다. 그 결과 전체 노선 가운데 170곳에서 이상이 발견됐는데도 회사 쪽에서 이를 방치하고 운행을 계속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 때문에 일본 국토교통성이 특별보안감사를 진행하고,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이 JR홋카이도의 처사를 “악질적”이라고 비난하는 등 일본 사회가 발칵 뒤집힌 상태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마이니치신문>은 25일 JR홋카이도의 안전 불감증의 원인으로 ‘현장 책임자’ 노릇을 해야 할 40대 간부의 수가 적다는 점을 꼽으며, 이는 1987년 이뤄진 철도 사영화의 후유증이라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는 1987년 철도 사영화를 단행하며, 여객 부분을 홋카이도·도카이·동일본·서일본·시코쿠·규슈 등 6개 지역으로 쪼갰다. 이 가운데 최북단의 홋카이도는 넓은 면적에 인구가 흩어져 있는 데다, 겨울철 제설 비용이 많이 들어 철도 회사가 수익을 내기 어려운 구조였다. 이런 사정 탓에 일본 정부는 사영화를 결정하며, JR홋카이도에는 경영안정기금을 만들어 그 운용 수익으로 적자를 메우도록 했다. 그러나 계속된 저금리 상황에서 기금 수익이 많이 줄어든데다 상장하려던 목표마저 좌절되자, JR홋카이도엔 매년 큰 액수의 영업 적자가 누적되고 있다. 지난해 JR홋카이도의 영업 손실은 309억엔(3374억원)으로 도쿄 등 대도시를 끼고 있어 무려 3228억엔의 이익을 낸 JR동일본과 큰 대조를 보이고 있다.

신문은 JR홋카이도가 경영난 탓에 제때 인재를 확보하지 못한 점을 이번 사고의 중요 원인으로 꼽고 있다. JR홋카이도 직원 7000명의 연령대를 살펴 보면, 50대가 37.7%로 가장 많고, 사영화 이후 입사한 20대가 27.4%로 그 뒤를 잇고 있다. 이에 견줘 현장 책임자로 왕성하게 활동해야 할 40대 직원은 전체의 9.5%뿐이다. 실제 문제가 불거진 뒤 현장 직원들은 “열차 통과가 많은 본선을 우선 처리했다” “담당자 사이의 소통이 부족했다” 따위의 문제점을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장 담당자들의 효과적인 대응이 부족해 검사 담당자가 보수 담당자에게 검사 기록을 넘긴 뒤 아무런 조처를 취하지 않아, 문제는 확인했지만 후속 조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재계의 시각을 대변하는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선 이번 사태의 원인을 강성 노조 쪽에 돌리는 등 반론도 만만치 않다. 2011년 5월 78명이 다친 세키쇼선 사고 이후 지난해 11월 노사가 머리를 맞대고 ‘안전기본계획’을 세웠지만, 노사 사이의 골이 깊어 이 계획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노지마 마코토 JR홋카이도 사장은 “왜 현장에서 규칙을 지키지 않았는지 알 수 없다”며 책임을 현장 직원들에게 떠넘기는 발언을 되뇌고 있다. 이 와중에 철도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바닥으로 추락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24일에도 열차 밑에서 흰 연기가 피어나고, 브레이크에 이상이 생기는 등 크고 작은 문제가 끊이지 않았다며 JR홋카이도의 안전 불감증을 다시 한번 꼬집었다.

도쿄/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금’ 쓸어 담은 한국, 11개로 대회 이틀 만에 목표 조기 달성 1.

‘금’ 쓸어 담은 한국, 11개로 대회 이틀 만에 목표 조기 달성

[속보]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관세 25% 부과하겠다” 2.

[속보]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관세 25% 부과하겠다”

김길리 “제가 넘어져서” 눈물…최민정 “중압감 알기에 안아주기만” 3.

김길리 “제가 넘어져서” 눈물…최민정 “중압감 알기에 안아주기만”

[단독] 납득 못할 ‘경기 도중 도핑검사’ 요구…산악스키 김하나 골절 부상 4.

[단독] 납득 못할 ‘경기 도중 도핑검사’ 요구…산악스키 김하나 골절 부상

[단독] 중국 ‘금’ 린샤오쥔 엉덩이를 툭…밀어주기 반칙 정황 5.

[단독] 중국 ‘금’ 린샤오쥔 엉덩이를 툭…밀어주기 반칙 정황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