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29일 첫 해외 순방에 나선 윤석열 대통령이 스페인 마드리드 이페마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가운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대화하고 있다. 마드리드/연합뉴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거세지는 가운데 이달 중순 예정된 국제회의를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과 한·미·일 정상회담이 잇따라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한-일 정식 회담이 성사되면 2019년 12월 이후 3년 만이다.
<요미우리신문>은 5일 복수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일-한 정부가 10~16일 동남아시아에서 열리는 국제회의에 맞춰 정상회담을 갖는 쪽으로 조율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미사일 발사를 거듭하는 대북 억제력을 높이기 위해 정상간 의사소통에 만전을 기하겠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이달 중순 아세안(ASEAN) 정상회의(10~13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15~16일) 등이 개최된다.
일본 정부 안에서는 한-일 관계 최대 현안인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와 관련해 해법이 도출된 것은 아니지만 북한 정세가 긴박해 정상회담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강제동원 피해자 해법도 한국 쪽 움직임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모습이 감지된다. <요미우리신문>은 “4일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한국을 방문해 지난 2일 윤석열 대통령을 만난 아소 다로 부총재 등과 식사를 했다. 한국 쪽이 관계 개선에 긍정적인 것으로 전해졌다”고 강조했다. 아소 부총재는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사망 이후 자민당 내 여론을 모을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거물 정치인’이다. 기시다 총리는 한국 쪽의 상황을 좀 더 살펴본 뒤, 정상회담 개최 여부를 조만간 최종 판단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한·미·일 정상회담도 조정 중이다. <교도통신>은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이례적인 빈도로 발사하고 있다. 조만간 7차 핵실험도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며 “북한에 대한 일·미·한의 결속을 보여주고 대북 억제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3국 정상회담을 조율 중”이라고 보도했다. 3국 정상회담은 지난 6월 말 스페인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 이후 약 5개월 만이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