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북한의 탄도미사일 공격 등에 대비해 지하철역·지하상가를 대피가 가능한 ‘방공호’로 활용할 수 있을지 극비리에 검토했다는 일본 언론 보도가 나왔다.
<산케이신문>은 1일 복수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2017년 북한이 일본을 향한 탄도미사일 발사계획을 발표하면서 지하철역, 지하상가, 지하 주차장 등 지하시설을 방공호로 활용할 수 있을지 논의하기 위해 극비리에 회의가 열렸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2017년 내각관방, 총무성, 국토교통성, 방위성 등 관계부처가 참여한 가운데 ‘탄도미사일을 상정한 방공호 기본방향에 관한 검토회’를 만들었다. 2018년까지 몇 차례 회의와 함께 전문가, 지하철 사업자 등을 불러 공청회를 실시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신문은 “도쿄역을 사례로 논의를 했다. 구체적인 검토를 해야 할 정도로 일본 내에선 긴장감이 컸다”고 전했다.
북한은 2016~2017년 탄도미사일 발사를 자주 반복했고, 2017년엔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이 두 차례 일본 홋카이도 상공을 통과해 태평양에 낙하하기도 했다.
<산케이신문>은 “핵탄두나 생화학무기가 탑재될 경우 (공기가 통하지 않는) 기밀성이 중요한데, 지하철역 등은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자민당 내에선 핵 공격을 대비한 방공호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북한의 움직임이 진정되면서 검토회도 일단락됐다”고 덧붙였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