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외교부 장관(오른쪽)이 지난 5월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에 맞춰 서울을 찾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 회담했다. 당시 박 장관은 정식 임명 전 후보자 신분으로 하야시 외무상을 만났다. 외교부 제공
박진 한국 외교부 장관이 오는 18~21일 일본을 방문하는 방안이 최종 조율되고 있다는 일본 언론 보도가 나왔다. 한국 외교부는 박진 장관 방일 보도에 대해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
<아사히신문>은 8일 복수의 한·일 외교소식통을 인용해 “박진 장관이 일본의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과 일본에서 회담을 갖고 일-한 관계 현안인 징용공(강제동원 피해자) 문제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박진 장관의 방일이 성사되면 취임 뒤 첫 일본 방문이 된다. 박 장관은 애초 지난달 일본을 방문할 예정이었으나 오는 10일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일본 정부가 부담을 느끼면서 미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일 외교장관 회담이 이뤄지면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배상 판결에 따른 ‘현금화’ 문제 등 현안과 한-일 첫 정상회담 등이 거론될 것으로 예측된다. <아사히신문>은 “박 장관이 회담에서 한국 쪽의 징용공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설명하고 의견을 나눌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 정부는)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윤석열 대통령 간 정상회담 성사에 속도를 내겠다는 복안”이라고 전했다.
한국 외교부는 지난 4일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 해결을 위한 민관협의회 첫 회의를 열었다. 조현동 외교부 1차관 주재로 열린 첫 민관협의회에는 진창수 세종연구소 일본연구센터장과 박홍규 고려대 교수 등 학계 전문가를 비롯해 피해자 대리인단인 장완익·임재성 변호사 등 12명이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정부 관계자는 이 신문에 “올해 8·15 광복절 때 윤 대통령의 연설 내용도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민관) 협의회 안에서 나온 의견을 참고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 외교부는 박 장관 방일 보도에 대해 “현재 결정된 바 없다. 향후 편리한 시기 방일 기대한다. 확정되면 바로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