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당국이 지난 2019년 2월 중국 군용기 정보를 교환하는 상설 협력기구를 일본에 요청했으나 거부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케이신문>은 4일 “대만군 최상층부가 지난 2019년 2월 하순 일본의 대만 창구기관인 타이베이사무소를 통해 중국 군용기의 비행 정보를 즉각 교환할 수 있는 체제 구축을 일본 정부에 요청한 적이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대만 당국이 일본에 공식적인 방위협력을 요청한 사실이 밝혀진 것은 처음”이라고 전했다.
지난 2016~2018년 중국군의 훙(H)-6 폭격기 등이 대만과 필리핀 사이인 바시 해협과 오키나와와 미야코섬 사이에 있는 미야코해협을 거쳐 중국으로 돌아가는 일이 있었다. 대만은 미야코해협, 일본은 바시해협을 감시할 수 없어 각자의 영역에 폭격기가 들어올 때까지 사전에 파악하기 어렵다. 이런 이유로 대만 당국은 중국 군용기의 위치·고도·속도 등 레이더 정보를 교환하는 상설체제 구축을 요구했다.
하지만 일본은 대만과 수교 등 외교 관계가 없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답변을 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신 일본은 독자적인 태세 정비에 나선 상태다. 항공자위대는 오키나와현 요나구니섬에 이동식 경계관제 레이더를 설치해 바시해협을 빠져나와 북상하는 항공기를 감시하고 있다.
이 신문은 “지난해 미국 고위 간부로부터 대만 유사시 가능성을 지적하는 발언이 잇따라 나왔다”며 “자위대 내에서도 대만 유사시 대만과 정보 교환이 없으면 일본인 대피 등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