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 모습. 누리집 갈무리
일제강점기 때 조선인들이 ‘강제동원’됐던 니가타현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록 후보로 추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2015년 하시마(군함도) 등재 때처럼 역사 왜곡 논란이 재연될 것으로 우려된다.
23일 <마이니치신문> 등 일본 언론을 보면, 일본 문화심의회가 지난 8월부터 2023년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위한 후보 선정을 시작한 뒤 현재까지 검토 중인 대상이 사도광산 한곳뿐이다. 문화심의회는 올해 안에 사도광산을 후보로 추천할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도광산이 후보로 확정되면 일본 정부는 내년 2월1일까지 유네스코에 추천서를 제출하게 된다. 등재 여부는 유네스코 자문기관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이코모스, ICOMOS) 심사와 권고를 거쳐 2023년에 결정된다.
니가타현과 사도시는 2015년부터 세계문화유산 후보 선정을 위해 공을 들였으나 경쟁에 밀려 번번이 실패했다. 이번에는 단독으로 심사를 받고 있어, 어느 때보다 가능성이 높다.
니가타현 앞바다에 자리한 사도섬에 있는 사도광산은 에도 시대부터 금광으로 유명했다. 태평양전쟁 시기엔 금뿐만 아니라 구리 등 전쟁 물자를 확보하는 광산으로 활용됐다. 특히, 미쓰비시광업이 운영했던 광산에는 조선인들이 대거 동원된 것으로 확인된다.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보고서(2019년)를 보면, 전쟁 기간 중 사도광산에 최대 1200여명의 조선인이 강제동원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고서는 사도광산 관련 조선인 명부 2종과 신문기사, 구술기록, 공안당국의 문서 등을 근거로 제시하며 “강제로 동원된 조선인들은 탈출을 시도했고, 회사 쪽은 경찰과 직업소개소 등 색출 시스템을 가동해 잡아들이고 탈출자에 대해 폭행을 가했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또 “사도광산의 경우 (군함도 등과 달리) 조선인 광부 이외 타국의 피해자를 찾을 수 없고, 일본 현지의 시민단체도 없다”며 일본의 “세계유산 등재 시도에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