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를 중심으로 코로나19 감염자가 확산세를 보이자, 일본 정부 안에서 긴급사태에 준하는 ‘만연방지 등 중점조치’를 연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7일 보도했다. 코로나 확산은 관중 규모 등 한 달도 남지 않은 도쿄올림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만큼,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도쿄 등 7개 지역은 지난 21일부터 긴급사태가 해제되는 대신 다음달 11일까지 중점조치를 적용하기로 했다. 중점조치 대상 지역은 음식점 영업시간 단축 등 강도 높은 감염 대책을 시행할 수 있다. 문제는 긴급사태가 끝나자 유동인구가 증가하면서 도쿄의 감염자가 다시 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도쿄는 26일 하루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534명으로 일주일(388명) 전보다 146명 증가했다. 긴급사태가 해제된 21일 236명에서 23일 619명으로 급증한 뒤 24일 570명, 25일 562명 등 500~60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 일주일을 한 주 전과 비교하면 하루 감염자가 평균 100명 이상씩 웃돌고 있다. 이 신문은 “도쿄 신규 감염자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전문가들이 4번째 긴급사태 선언 발령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코로나19 대책을 관장하는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재생 담당상은 이날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에 나와 “도쿄 등 수도권에서 신규 감염자가 증가 추세에 있다”며 “술 제공 중지를 포함해 강력한 대책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쿄 등 중점조치 지역의 음식점은 오후 8시까지 영업을 하고 있으며 조건부로 오후 7시까지 술 제공을 허용하고 있다. 니시무라 담당상은 이어 “필요하다면 중점조치 지역에 긴급사태 선언도 주저하지 말고 신속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는 다음달 8일 도쿄 등에 중점조치를 연장할지를 결정할 예정이다.
중점조치가 연장되면 개막식까지 한 달도 남지 않은 도쿄올림픽(7월23일 개막)이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일본 정부는 중점조치 해제를 조건으로 ‘관중 상한 1만명’을 결정했기 때문이다. <산케이신문>은 “유동인구 증가, 델타 변이 확산 등 도쿄의 신규 감염자가 앞으로 늘어날 요인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무관중 개최도 현실화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 정부는 최근 올림픽 참가를 위해 입국한 국외 선수단에서 전염력이 강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가 나오자, 대책을 강화하기로 했다. <요미우리신문>은 “델타 변이 유행 국가에서 입국하는 선수단은 출국 전 7일 동안 매일 코로나 검사를 받은 결과를 제출해야 한다”며 “다음달 1일부터 시행된다”고 전했다. 해당 국가는 인도, 스리랑카, 네팔, 파키스탄, 몰디브, 아프가니스탄 등 6개국이다.
한편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이 다음달 9일 일본을 방문하는 등 올림픽 개최를 위한 일정도 본격화되고 있다. <교도통신>은 바흐 위원장은 내달 9일 입국해 16일께 원폭 피해지인 히로시마를 방문하는 방안을 조정하고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