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전 미래통합당 대표가 11일(현지시각) 워싱턴의 한 호텔에서 방미 성과에 대해 특파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미국을 방문한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대표는 11일(현지시각) 미 정부·의회·재계 인사 등을 만나 코로나19 백신 1000만회분을 지원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는 백신을 국민의힘 소속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있는 서울, 부산, 제주 등에 지원해달라고 했다.
지난 5일부터 12일까지 워싱턴을 방문한 황 전 대표는 이날 한 호텔에서 진행한 특파원 간담회와 보도자료를 통해 “미 주요업체 백신 1000만개를 한-미 동맹 혈맹 차원에서 대한민국 쪽에 전달해줄 것을 정·재계 및 각종 기관 등에 공식 요청했다”고 밝혔다. 커트 캠벨 백악관 인도태평양조정관은 이같은 요청에 “회의 뒤 백악관에 직접 보고하겠다”며 “미국은 대한민국 백신 대란이 얼마나 심각한 문제인지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한-미 동맹에 입각한 최대한의 노력을 기울일 것임을 이해해달라”고 말했다고 황 전 대표는 전했다. 마크 내퍼 국무부 동아태 담당 부차관보도 면담했다.
황 전 대표는 “특히 국민의힘 소속의 지자체장들이 있는 서울, 부산, 제주 등이라도 굳건한 한-미 동맹의 상징적 차원에서라도 백신 1000만회분에 대한 지원을 부탁했다”고 말했다. 서울과 부산은 지난달 7일 보궐선거에서 각각 국민의힘 오세훈, 박형준 후보가 당선됐고, 제주는 같은 당의 원희룡 도지사가 도정을 맡고 있다. 정치를 재개한 황 전 대표는 워싱턴에서 국민을 위한 ‘백신 확보전’을 편다면서 이들 단체장을 각별히 챙겼다. 이들 광역단체에 백신을 공급하는 게 왜 “굳건한 한-미 동맹의 상징적 차원”인지는 불확실하다.
황 전 대표는 또 미국의 유력 백신 제조사 최고위급 임원에게 “백신 생산기지를 다원화시켜 한국에 듀얼 생산기지 설립을 제안했다”고 전했다. 또 미 상공회의소 찰스 프리먼 선임부회장 등에게도 미 제약회사들의 한국 백신 계약 및 공급이 조속히 실현될 수 있도록 당부했다고 황 전 대표는 밝혔다.
황 전 대표는 오는 21일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공개될 법한 소식들도 미리 공개했다. 그는 “현지 제약업체와 미 의원으로부터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 일정에 맞춰 현지 미 제약회사와 더불어 대대적인 백신 계약을 체결한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전했다. 그는 또 “미 의회 외교위원회 소속 의원들로부터 현재 위원회 내 백신 스와핑 논의가 공식 시작됐으며, 한국에 백신 수급 문제를 놓고 백악관과 국무부 등과 실무적인 절차가 진행되고 있음을 보고받았다”고 말했다. 황 전 대표는 미 정부가 백신 지원 최우선 대상국으로 인도를 고려하고 있다며, 한국 정부와 국민들을 위해 지원 범위를 확장해줄 것도 당부했다고 말했다.
황 전 대표는 이밖에 방미 기간 동안 수잔 숄티 북한자유연합 대표, 헨리 키신저 전 미 국무장관, 탈북 청년들을 대면이나 화상으로 만나고,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등을 방문해 한-미 동맹과 북한 인권, 대북전단살포 등에 대해 논의했다.
그는 향후 정치 행보에 대해 “지금 대한민국은 총체적 난국에 빠져 있다고 진단한다. 이를 바로잡기 위해 최선의 힘을 다할 것”이라며 “무엇을 할 것이냐는 국민이 판단할 일이기 때문에 저는 제 자리에서 책임 있는 행동을 해나가겠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12일에는 국민의힘 ‘백신 사절단’인 박진·최형두 의원이 워싱턴에 도착해 정부·의회·재계 등을 만나 문 대통령의 방미에 앞서 의원 외교를 펼 예정이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