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담화에 대해 미국 정부는 ‘환영’한다는 반응을 내놨다.
네드 프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대변인은 14일(현지시각) 성명을 통해 “아베 총리가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가한 고통에 대해 깊이 후회하고, 역대 내각의 역사 관련 담화를 계승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점을 환영한다”며 “앞으로 국제 평화와 번영을 위한 기여를 확대하겠다는 일본의 의지를 확약한 점도 평가한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중국 견제라는 전략적 측면에서 미-일 동맹의 강화를 추진해왔으며, 이런 맥락에서 일본의 과거사 문제에 대해선 비교적 ‘관대한’ 입장을 취해왔다.
미국의 지한파 정치인들에게선 비판적 평가가 나왔다. 공화당 의원인 에드 로이스 미 하원 외교위원장은 14일 논평을 통해 “아베 총리가 지난 4월 미 상·하원 합동연설 때보다 더 명확하고 직접적인 용어로 역사 문제를 해결할 것을 마지막으로 기대했지만, 그 기대에 충족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2007년 미 하원의 ‘위안부 결의안’을 주도한 민주당의 마이크 혼다 하원의원도 아베 총리가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전장의 그늘에는 심각하게 명예와 존엄을 훼손당한 여성들이 있다는 것도 잊어서는 안 된다’는 한 문장으로 막연하게 언급했다며, “이는 일본군에게 고통을 당한 여성들에 대한 ‘직접적인 모욕’”이라고 비판했다.
중국 정부는 “진정한 사과”를 촉구하며 아베 담화를 비판했다. 중국 외교부는 “일본 군국주의의 침략전쟁은 중국과 아시아 피해국 국민들에게 심대한 재난을 가져왔다”며 “일본은 마땅히 침략의 성격과 책임에 관해 분명하게 설명하고 피해 국민들에게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 아울러 철저히 군국주의 침략역사와도 결별해야 한다”고 논평했다.
워싱턴 베이징/이용인 성연철 특파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