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일반

“줄어드는 남극 오존구멍, 온난화 가속화”

등록 2010-01-26 20:58

영국 과학자 주장
1980년대 이래 지구온난화의 상징처럼 인식되어왔던 남극의 오존구멍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오존구멍이 줄어드는 것 자체가 지구온난화를 부추길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영국 리즈대학의 대기과학자인 켄 카슬로 교수 등은 ‘지구물리학 리서치 레터’를 통해 오존구멍의 감소가 남반구 일정지역에서 온난화를 가속화할 수도 있다는 뜻밖의 주장을 내놨다고 <뉴욕타임스>가 26일 보도했다. 유럽중기기상예보센터가 확보한 1980~2000년 사이 지구상의 풍속데이터들을 종합분석한 결과, 오존구멍이 강한 바람을 일으켜 바다의 염분을 흡수해 형성시켰던 다습한 구름이 남극 상공에서 강력한 태양광들을 반사시켜왔다는 것이다.

오존층은 성층권(지상 25~30km)에서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 흡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존구멍이 1980년대 중반 남극 상공에서 발견되면서 세계 각국은 1987년 몬트리올의정서를 통해 오존층을 파괴하는 프레온가스 등 사용을 금지시켜나가고 있다. 미 우주항공국이 운영하는 오존구멍 감시사이트는 오존구멍이 매년 9~10월에 최대로 확대되며 2200만~2700만㎢의 크기로 안정적인 추세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세계기상기구의 최신 보고는 2060년이면 오존구멍이 1980년 이전 수준으로 없어질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미국 국립대기해양청(NOAA)의 주디스 펄위츠 박사는 이번 연구의 자료가 타당하더라도 결론엔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그는 “문제는 바람의 세기가 줄어드느냐는 것”이라며 “인류의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온상승 또한 바람의 속도를 높여 비슷한 구름을 생성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류재훈 기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일본, 1시간 일해 빅맥 두 개 산다…한국은? 1.

일본, 1시간 일해 빅맥 두 개 산다…한국은?

미국서 또 항공기 추락…어린이 환자 태운 채 주택가로 떨어져 2.

미국서 또 항공기 추락…어린이 환자 태운 채 주택가로 떨어져

멕시코·캐나다 공장 어쩌나…트럼프 관세 폭탄에 글로벌 기업 당혹 3.

멕시코·캐나다 공장 어쩌나…트럼프 관세 폭탄에 글로벌 기업 당혹

‘여객기 충돌’ 미군 헬기, 고위직 대피 비밀훈련 중이었다 4.

‘여객기 충돌’ 미군 헬기, 고위직 대피 비밀훈련 중이었다

50년 전에 인간이 갔던 달, 왜 다시 못 가나 5.

50년 전에 인간이 갔던 달, 왜 다시 못 가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