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간 새 보급로 탐색…반 무샤라프 시위 첫 사망자 발생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철권통치를 강화한 페르베즈 무샤라프 파키스탄 대통령이 실각할지 모른다는 관측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파키스탄을 아프가니스탄 대테러전쟁의 주요 보급경로로 삼아온 미국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대안’ 검토에 나섰다.
<뉴욕타임스>는 14일 미국 정가와 파키스탄 외교가에서 “무샤라프에게 남은 날이 얼마 없다”는 목소리가 날마다 힘을 얻고 있다고 보도했다. 무샤라프를 대체할 사람으로는 또다른 군부 지도자가 거론된다. 무샤라프 정권을 전복할 힘을 갖춘 세력은 군부가 사실상 유일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소요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거나 미국의 지원이 눈에 띄게 줄면, 군부가 개입해 무샤라프를 ‘조용히 밀어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미국이 우려하는 ‘이슬람주의 세력의 정권 획득’ 시나리오의 현실화는 어려울 전망이다.
미국 국방부의 제프 모렐 언론담당관은 14일 브리핑에서 “아프간의 보급이 어려워질 때를 대비해 긴급 대책 수송로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라며 “사회의 동요나 비상사태 등 상황을 고려했을 때, 우리(국방부)는 이것이 절실하다고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고 <블룸버그> 통신 등이 전했다. 그는 “파키스탄 보급로는 매우 중요하다”며, 2만5천여명의 현지 병력에 전달되는 보급품 가운데 “연료 40%를 포함해 75%가 파키스탄을 통해 운송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무샤라프 대통령에 반대하는 시위 도중 괴한의 총격으로 2명이 사망했다고 현지언론과 외신들이 보도했다. 비상사태 선포 뒤 시위 사망자가 생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파키스탄 경찰은 “카라치에서 반정부 시위대 쪽에 있던 신원을 알 수 없는 남자가 총을 쏴 시위를 벌이던 11∼12살 사이의 소년 2명이 숨졌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위를 주도했던 파키스탄인민당(PPP)은 “경찰의 주장을 믿지 않는다. 우리 당원들은 평화적 시위를 했다”고 반박했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