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일반

굴착기로 만리장성 허문 중국인 2명 체포…“지름길 만들려고”

등록 2023-09-05 17:02수정 2023-09-05 21:20

중국 산시성 유위현 당국은 4일(현지시각) 유위현의 만리장성 일부가 지난달 말 굴착기에 훼손됐다고 밝혔다. 중국신문망 웨이보 갈무리
중국 산시성 유위현 당국은 4일(현지시각) 유위현의 만리장성 일부가 지난달 말 굴착기에 훼손됐다고 밝혔다. 중국신문망 웨이보 갈무리

지름길을 내려고 만리장성 일부를 굴착기로 훼손한 중국인 2명이 공안에 붙잡혔다.

4일(현지시각) 중국 관영 매체 차이나 데일리는 중국 산시성 유위현 당국이 지난달 말 만리장성 일부가 굴착기로 훼손됐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24일 만리장성 벽에 틈이 생겼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유위현 당국은 굴착기로 장성을 허문 38살 남성과 55살 여성을 체포했다. 인근 공사장에서 일하기로 계약한 두사람은 굴착기가 통과할 수 있게 기존에 장성에 있던 구멍을 넓혀 큰 틈을 팠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사람이 지름길을 만들어 굴착기 이동 거리를 줄이고 싶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두사람이 허문 장성의 폭은 차량 두대가 교차 운행할 수 있는 규모였다. 두사람은 문화유적을 파괴한 혐의로 기소됐다고 차이나 데일리는 전했다.

중국 산시성 유위현 당국은 4일(현지시각) 유위현의 만리장성 일부가 지난달 말 굴착기에 훼손됐다고 밝혔다. 중국신문망 웨이보 갈무리
중국 산시성 유위현 당국은 4일(현지시각) 유위현의 만리장성 일부가 지난달 말 굴착기에 훼손됐다고 밝혔다. 중국신문망 웨이보 갈무리

주변에 32개 마을이 있어 ‘32 장성’이라고 불리는 이 장성은 명나라 때(1368∼1644년) 북방 세력의 침입을 막기 위해 유위현 화린산 일대에 흙으로 쌓은 만리장성의 일부다. 토성과 봉화대가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산시성 내 만리장성 가운데 보존 가치가 크다는 평가를 받았다. 32 장성은 중국 국가급 명승지로 등록됐고, 198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됐다.

중국 관영 중앙텔레비전(CCTV)는 이들이 “만리장성에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입혔다”고 보도했다.

조윤영 기자 jy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그리스 산토리니 비상사태 선포…“열흘간 7700회 지진 감지” 1.

그리스 산토리니 비상사태 선포…“열흘간 7700회 지진 감지”

‘친이스라엘’ 트럼프…네타냐후 전쟁 범죄 영장 발부한 ICC 제재 2.

‘친이스라엘’ 트럼프…네타냐후 전쟁 범죄 영장 발부한 ICC 제재

딥시크 첫 공식 입장 “가짜 계정·거짓 정보 조심” 3.

딥시크 첫 공식 입장 “가짜 계정·거짓 정보 조심”

트럼프 USAID 폐지 후폭풍…임상시험 참여자 수천명 방치될 위기 4.

트럼프 USAID 폐지 후폭풍…임상시험 참여자 수천명 방치될 위기

트럼프 ‘선한 강대국 미국’ 상징 USAID 직원 70% 감원 5.

트럼프 ‘선한 강대국 미국’ 상징 USAID 직원 70% 감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