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인터넷 관리를 견고히 하라”고 지시하자, 중국의 당·정·군 핵심 요인들이 모여 ‘인터넷 안전 회의’를 열었다.
15일 관영 <중국중앙텔레비전>(CCTV) 보도를 보면, 최근 시 주석은 사이버 안보 및 정보화와 관련한 중요 지시를 내리면서 “새로운 시대, 새로운 여정에서 인터넷 사업의 중요한 위치가 갈수록 두드러진다. 리스크를 예방하고,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이어 “국가 인터넷 보안 장벽을 계속 견고하게 세워야 한다”며 “각급 당 위원회가 총괄 조율을 강화해 인터넷 정보 업무에 관한 당 중앙의 결정이 확실히 실행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자 14~15일 중국 당·정·군 핵심 인사들이 베이징에 모여 전국 인터넷 안전 및 정보화 공작회의를 열었다. 이 회의에는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인 차이치 당 중앙 서기처 서기와 허리펑 부총리, 장여우샤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천원칭 당 중앙정법위원회(정법위) 서기, 왕샤오훙 공안부장 등 경제·군사·정법(법원·검찰)·경찰 등 조직에 포진한 시 주석의 핵심 측근들이 참석했다. 차이 서기는 “인터넷 관련 입법·행정·사법을 강화하고, 인터넷 공간의 법치화 과정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만리방화벽’이라 불리는 고강도 인터넷 통제를 가동해 일반인들이 해외 누리집에 접속하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 또 주요 포털, 소셜미디어, 언론사 누리집 등을 상시적으로 검열해 국가 정책 방향이나 역사관 등과 어긋난 글을 통제하고 있다.
지난 5월21일부터 한국 포털 네이버의 중국 내 검색이 제한됐지만 중국 당국은 이에 대한 이유를 두달 째 밝히지 않고 있다. 앞서 다음이 2019년부터 차단됐고 2014년에는 카카오톡과 라인의 중국 서비스가 막혔다.
베이징/최현준 특파원
haoju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