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각) 아프리카 중재단의 일원으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방문한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상트페테르부르크/리아노보스티 로이터 연합뉴스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등 아프리카 7개국 지도자들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정상을 잇따라 만나 대화를 통한 전쟁 중단을 촉구했으나, 두나라 모두 협상을 거부했다.
7개국 지도자들은 17일(현지시각)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블라미디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만나 우크라이나와의 전쟁 중단을 촉구했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보도했다. 이들은 앞선 16일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도 전쟁 중단을 위한 협상을 촉구한 바 있다.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을 만나 “이 전쟁을 영원히 계속할 수는 없다. 모든 전쟁은 해결되어야 하고 어느 시점에 끝내야 한다”며 “우리는 이 메시지를 분명히 전달하기 위해 여기에 왔다”고 말했다.
아프리카는 남아공 외에 세네갈·이집트·잠비아·우간다·콩고·코모로 등 7개국 지도자들로 평화 중재단을 꾸렸고 이들은 10개 항목의 중재안을 제시했다. 중재안은 전쟁 해결, 협상을 통한 평화 회복, 갈등 완화, 유엔 헌장에 부합하는 주권 존중, 모든 나라의 안보 보장, 아이들과 전쟁 포로의 상호 교환, 전쟁 피해자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 등이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는 대화를 거부한 적이 없다”며 “공정성의 원칙에 입각해 당사자들의 정당한 이익을 인정하면서 평화를 구축하려는 그 누구와도 건설적인 대화의 여지를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대화를 거부하는 것은 우크라이나쪽이라며 어떤 평화도 새로운 현실을 감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가 말한 ‘새로운 현실’은 러시아가 지난해 9월 말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2개 주와 남부의 헤르손·자포리자주를 자국 영토로 병합한 것을 뜻한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은 아프리카 제안의 주요 접근법을 자국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으나,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대통령궁) 대변인은 아프리카의 제안을 실현하기가 아주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는 다만 “푸틴 대통령이 그들의 제안을 검토하는 데 흥미를 보였다”고 덧붙였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날 키이우에서 아프리카 지도자들을 만나 평화 협상을 위해서는 러시아군이 점령지에서 철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점령군이 우리 땅에 머물면서 러시아와 협상을 하는 것은 전쟁을 고착시키고 고통과 괴로움을 등 모든 걸 고착시키는 일”이라고 말했다. 두 나라가 점령지 문제에 대해 한치의 양보도 할 수 없다고 거듭 밝힘에 따라 이 전쟁으로 경제·식량 위기를 겪고 있는 아프리카의 중재 노력이 성과를 내기는 힘들어졌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