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올트먼 오픈에이아이 최고경영자가 16일 미국 상원 소위 청문회에서 인공지능의 위험성과 그 규제 필요성을 증언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상용화된 인공지능인 챗지피티의 창시자인 오픈에이아이(AI)의 최고경영자가 인공지능 개발을 규제해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샘 올트먼 오프에이아이 최고경영자는 16일(현지시각) 상원 법사위원회 소위원회가 개최한 청문회에서 인공지능의 개발·사용 등을 허가할 수 있는 새 정부 기관이 필요하다는 뜻을 밝혔다고 <에이피>(AP) 통신 등이 보도했다. 청문회에 참석한 의원들도 인공지능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규제 필요성에 찬성했다. 미 의회에서 인공지능과 관련한 청문회가 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올트먼은 이날 “우리는 사람들이 인공지능이 우리 삶의 방식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우려한다는 것을 이해한다”며 “만약 이 기술이 잘못되면, 아주 잘못된 채로 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인공지능이 일정 정도의 능력을 갖출 때만 허가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엔 허가를 내주지 않은 방식의 규제를 제안했다. 또 “독립적 전문가로 구성된 별도의 감시 기구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나아가 미국 뿐 아니라 국제적인 통일된 규제틀을 갖출 필요성도 언급했다. 올트먼은 “우리는 글로벌한 무언가가 필요하다. 순진하게 들릴 수 있지만,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같은 선례가 있다”면서 “미국이 다른 국가와 협력해 인공지능 국제 표준을 설정하는 것은 비현실적으로 들리지만, 실제 가능하고 전 세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올트먼은 나아가 자신이 만는 오픈에이아이에 대해 ”인공지능이 우리 삶의 거의 모든 측면을 좋게 할 것이라는 믿음으로 설립됐으나, 심각한 위험도 존재한다”며 “가장 우려하는 것 중에 하나는 일대일 대화형 허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이용자들이 인공지능은 “도구이지 생명체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것은 사람들이 통제하는 도구”라고 강조했다. 또 인공지능이 일자리를 없앨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선 “일부 직업을 완전히 자동화할 것”이라고 예측하면서도 “더 좋은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낼 것이고 믿는다”고 말했다.
소위 위원장인 리처드 블루먼슬(민주당)은 인공지능을 활용해 이날 개회사를 발표해 경각심을 높였다. 그는 자기 목소리로 진행된 것 같은 개회사가 끝나자, 이 연설이 인공지능이 수행한 것이라고 밝히고 “만약 이것이 우크라이나 침공이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옹호하는 내용이라면 어땠을지 두렵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인공지능은 희망적이지만, 정보의 무기화, 불평등의 조장, 목소리 복제를 통한 사기 등 잠재적 해악도 품고 있다”고 지적했다.
청문회 참석 의원들도 인공지능의 위험성을 지적하면서 규제에 찬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린지 그레이엄 의원(공화당)은 인공지능 기업을 허가하기 위한 별도의 정부기구 설립을 찬성한다다며 “인공지능 기업들이 옳은 일을 하도록 유인책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서면으로 증언한 크리스티나 몽고메리 아이비엠(IBM) 부사장은 인공지능 기술 자체에 대한 규제보다 인공지능을 특정한 목적에 사용하는 것을 규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식당 주문, 이메일 초고 작성 등을 위한 챗봇은 신용·주거·고용에 대한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과는 달리 사회에 긍정적 역할을 한다”며 인공지능을 규제할 새 정부 기관이 필요 없다고 주장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