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수도 오타와에서 정부의 백신 접종 의무화에 반대하는 트럭 운전사 등이 차량을 동원한 시위를 2주째 벌이고 있다. 오타와/AP 연합뉴스
캐나다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접종 반대 시위를 중단시키기 위해 비상사태법을 발동했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14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미국과의 국경을 막고 수도 오타와 일부 지역을 마비시킨 백신 접종 반대 시위를 끝내기 위해 비상사태법에 따른 권한을 발동한다고 이날 발표했다. 트뤼도 총리는 “(시위대의) 봉쇄가 경제에 해를 끼치고 공공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며 “불법이자 위험한 행동이 지속되도록 놔둘 수 없다”고 말했다.
캐나다의 비상사태법은 연방 정부가 지역 정부의 권한을 제한하고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비상 조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법은 세계대전 때 두번 발동된 바 있으나, 평시에 발동된 것은 1970년 딱 한번이다. 트뤼도의 아버지인 피에르 트뤼도 당시 총리는 퀘벡 분리 독립 세력이 영국 외교관을 납치하자 이 법을 발동했다.
총리가 비상사태법에 따라 취할 조처는 7일 안에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트뤼도 총리는 시위를 끝내기 위한 비상 조처가 “합리적이고 적절한 수준이 될 뿐 아니라 제한적인 기간 동안, 특정 지역에서만 시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캐나다와 미국을 오고 가는 트럭 운전사들은 정부의 백신 접종 의무화에 항의해 지난 8일 두 나라의 주요 교역 통로인 온타리오주 윈저의 앰배서더 다리를 봉쇄했다. 이 다리의 봉쇄는 6일만에 풀렸지만, 반대 시위는 수도 오타와 등에서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오타와의 경우, 트럭 등을 동원한 시위가 2주째 이어지면서 교통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에이피>(AP) 통신이 전했다. 비상사태법이 발동되며 정부가 오타와에서 벌어지는 시위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시위대의 차량을 견인해 도로를 치울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웨슬리 워크 오타와대학 교수가 지적했다.
하지만 시위대들은 정부의 압력에 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한 시위 참가자는 <에이피> 통신에 “우리를 겁먹게 할 것은 없다”고 말했고, 또 다른 참가자는 “우리가 원하는 것은 봉쇄와 제한 조처 해제 밖에 없다”며 강제로 퇴거되지 않는 한 트럭 시위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오타와와 윈저가 속한 온타리오주의 더그 포드 주지사는 정부의 긴급사태법 발동을 지지했으나 퀘벡·앨버타·서스캐처원주의 주지사들은 이 법 발동이 필요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