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5일 런던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재무장관 회담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그는 귀국길에 조 바이든 정부가 추진하는 4조달러 지출안이 금리 인상을 야기해도 미국에 좋을 것이라는 금리 인상 용인을 시사했다. 런던/로이터 연합뉴스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을 옹호하는 발언을 했다.
옐런 장관은 6일(현지시각) <블룸버그>에 “조 바이든 대통령이 추진하는 4조달러의 지출안이 내년까지 지속되는 인플레이션과 더 높은 금리를 야기한다고 해도 그 지출안을 밀고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약간 더 높은 금리 환경에 처하게 되어도, 이는 사회적 관점과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관점에서 실제로 플러스(이득)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영국 런던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 회의에 참석하고 귀국길에 이런 내용을 밝혔다.
옐런 장관은 “우리는 지난 10년 동안 너무 낮은 인플레와 금리와 싸워왔다”며 “우리는 통상적인 금리 환경으로 돌아가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만약 이것이 사태를 완화하는 데 약간 도움을 준다면, 나쁜 일은 아니고 좋은 일이다”라고 강조했다.
이는 미국 통화당국이 제로(0) 수준인 현재의 금리를 인상하는 것을 용인할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발언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옐런 장관의 이 발언은 또 그동안의 발언 중 가장 적극적으로 금리 인상을 옹호한 것이기도 하다.
옐런 장관은 그동안 ‘현재의 물가상승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일시적인 비정상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즉, 공급망 병목과 경기회복에 따른 지출 증가 등에 따른 일시적인 상승이며, 추세적인 인플레이션은 아니라는 주장이다. 하지만 바이든 정부의 대규모 지출안에 비판적인 경제분석가들은 이 지출안이 지속적인 비용 상승을 야기할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옐런 장관은 회견에서 바이든의 4조달러 지출안에 따른 연간 4천억달러의 정부지출 추가가 인플레이션을 번지게 할 정도는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코로나19 긴급구호안 등으로 야기되는 물가 상승은 내년이면 사라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옐런 장관은 “차기 지출안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지출안은 경기부양책이 아니라 우리 경제의 장기적인 필요성을 충족할 투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통화정책 당국자들은 인플레이션의 잠재적 상승 가능성에 대처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연준은 그동안 금리인상의 사전 단계인 연준의 자산매입 축소, 곧 테이퍼링은 인플레이션과 고용에 “실질적인 추가적 진전” 뒤에만 시작하겠다고 다짐해왔다. 연준은 현재 매월 1200억달러의 자산 매입을 지속하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등 연준 위원들은 기준금리를 2023년까지 사실상 0으로 유지하겠다는 입장이었다. 그 기준 중의 하나인 소비자 물가는 지난 4월 전년 동기 대비 4.2%가 올랐다. 실업률은 5월에 5.8%로 떨어졌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