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국경검문이 강화되면서 17일(현지시간) 독일 바우첸 인근을 지나는 A4 고속도로 구간에 트럭들이 길게 정체돼 있다. 드레스덴에서 폴란드와 국경을 접한 괴를리츠 사이의 고속도로에서는 이날 정오 무렵 정체 구간이 40㎞에 달했다. 바우첸 AP/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앞다퉈 천문학적 액수의 돈을 풀고 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18일(현지시각) 코로나19 확산 충격을 완화하려고 7500억유로(약 1054조5천억원) 규모의 ‘팬데믹 긴급 채권 매입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발표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 총재는 트위터에서 “비상한 시기에는 비상한 조처를 해야 한다”며 “유로존에 대한 개입은 한계가 없다. 우리는 가능한 한 모든 수단을 쓰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유럽중앙은행은 긴급 프로그램을 통해 재정 위기를 겪었던 그리스와 이탈리아 등을 포함해 유로존 회원국들의 국채와 기업어음(CP)을 사드릴 방침이다. 채권 매입 프로그램은 유럽중앙은행이 코로나19 확산 위기가 종료됐다고 판단할 때까지 계속된다. 은행은 성명에서 종료 시점이 적어도 “올해 말 전에는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럽연합(EU)은 지난 13일 370억유로(약 50조3천억원) 규모의 코로나19 투자 기금 계획을 내놓았으나 시장이 연일 추락하며 효과를 보지 못했다.
미국 의회에선 18일 1천억달러(약 127조4천억) 규모의 긴급 예산법안이 통과됐다. 지난 14일 하원이 처리한 데 이어 이날 상원에서 통과된 이 법안은 코로나19 무료검사, 실업보험 강화, 식품 지원, 유급 병가 등을 위한 재원으로 활용된다. 이번 법안은 의회가 지난 5일 83억달러(약 10조5700억)에 이르는 긴급 예산법안을 처리한 데 이어 두번째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서명하면 곧 집행된다.
이와 별도로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1조달러(약 1274조원) 규모의 경기 진작 법안을 처리해달라고 의회에 요청한 상태다. 납세자들에게 5천억달러를 직접 지급하고, 기업에도 5천억달러의 융자를 제공한다. 일부 언론은 이 예산 규모가 1조3천억달러로 추산된다고 전했다. 법안에는 미 행정부가 4월과 5월 두 차례에 걸쳐 1천달러(약 127만3천원)짜리 현금성 수표를 납세자들에게 지급하는 방안도 담겨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정부도 17일 기업에 3300억파운드(약 496조) 규모의 대출 보증을 해주기로 했다. 이는 영국 국내총생산(GDP) 규모의 15%에 육박한다. 스페인도 기업과 자영업자들을 위해 국내총생산의 20%에 해당하는 2천억유로(약 274조) 규모의 긴급 대책을 발표했다. 캐나다는 820억 캐나다달러(약 71조9천787억원), 스웨덴은 6천억크로나(약 77조원), 터키는 1천억리라(약 19조4천억원), 이탈리아는 250억유로(약 34조2730억원) 규모의 경기 부양책을 내놓았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