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17일(현지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뒤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는 모습이 중계되는 동안 미국 뉴욕 주식거래소 주식 중개인들이 일을 하고 있다. 뉴욕/블룸버그 연합뉴스
초저금리 ‘상당기간 유지’ 문구 삭제
미국 연준 “통화정책 정상화에 인내심”
내년 1분기까지 기조 유지 밝혀
전문가 “금리인상 시점, 물가가 변수”
다우지수 1.69%↑·미 국채 금리 상승
미국 연준 “통화정책 정상화에 인내심”
내년 1분기까지 기조 유지 밝혀
전문가 “금리인상 시점, 물가가 변수”
다우지수 1.69%↑·미 국채 금리 상승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내년 4월 이후로 제시하며 통화정책 정상화의 시동을 걸었다. 예상대로 초저금리 기조의 ‘상당 기간’ 유지라는 표현을 삭제해 금리 인상 쪽으로 한발 더 나아가면서도, 시장이 우려해온 조기 금리 인상 가능성은 차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내 금융 시장에선 미 연준 결정의 여파로 채권 금리가 뛰고 원화 가치가 하락한 가운데, 정부는 18일 시장상황점검회의를 열고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점검에 나섰다.
미 연준은 16~17일(현지시각) 이틀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현행 연 0~0.25%의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한 뒤 발표한 성명에서 “위원회는 통화정책 정상화에 착수하는 데 인내심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는 “자산매입 프로그램이 끝난 이후에도 상당 기간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기존의 ‘선제적 안내’(포워드 가이던스)를 대체한 것이다. 다만 연준은 두가지 표현이 사실상 같은 의미라고 성명서 문구에 명시했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도 기자회견에서 “새로운 용어를 동원한 것이 연준의 정책 의도가 바뀌었다는 신호는 아니며 이전 가이던스와 전적으로 일치한다”고 강조했다. 시장이 연준의 이번 성명서 문구 변화를 두고 지나치게 긴축 신호 쪽으로 해석할까봐 차단막을 친 것이다. 옐런 의장은 금리 인상 시기와 관련해선 “정상화 절차(금리 인상)가 앞으로 두차례(내년 1, 3월) 정도 회의에서는 시작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는 내년 1분기까지는 금리를 올리지 않겠다는 발언이지만, 뒤집어 보면 4월 이후에는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런 탓에 금융시장에선 반응이 엇갈렸다. 주식시장은 금리 인상에 인내심을 발휘할 것이라는 데 주목해 다우지수가 1.69% 상승했다. 반면 채권과 외환시장에선 금리 인상이 가시화됐다는 쪽으로 시선이 쏠리면서 미 국채 금리가 오르고 달러는 강세를 띠었다.
금융시장에선 연준의 이번 결정이 10년 전 금리 인상 과정에서 보여준 신호와 흡사하다는 점을 들어, 당시와 같은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연준은 2004년 1월 회의에서 상당 기간 초저금리 유지라는 문구 대신 이번처럼 인내심이라는 표현을 넣었다. 이어 5월 회의에서 신중한 속도로 금리 인상에 나서겠다는 표현으로 수정한 뒤, 6월 회의에서 연 1%이던 기준금리를 1.25%로 올린 바 있다. 구체적인 금리 인상 시점에 대한 예측은 내년 6월 또는 9월로 다소 엇갈리고 있는데, 물가가 변수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임노중 아이엠(IM)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고용지표로만 보면 금리 인상 시기는 빨라질 수 있지만 문제는 인플레이션이다. 현재 물가가 낮은 수준이고 앞으로도 상당 기간 높아질 가능성이 낮아 보여 금리 인상 시기가 빨라지기는 어렵다”고 예상했다.
국내 외환·채권시장에선 연준의 결정이 다소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이었다고 받아들여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6.6원 오른 달러당 1101.5원에 장을 마감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연 2.183%로 전날보다 0.014%포인트 상승했다. 코스피지수는 연준 결정과는 별도로 러시아 위기와 유가하락 우려가 반영된데다 제일모직 상장으로 수급마저 꼬이는 바람에 전날보다 2.66 하락한 1897.60으로 거래를 마쳐 10개월여 만에 1900선 아래로 떨어졌다.
미국의 금리 인상 가시화는 국내 시장 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가계부채 상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자본 유출 우려를 키울 수 있는 리스크 요인이다. 특히 미국의 금리 인상이 러시아와 신흥국의 금융위기와 맞물릴 경우 국제 금융시장이 혼란에 빠지면서 우리 경제도 후폭풍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가능성이 크다. 기획재정부는 “금융·외환시장의 양방향 변동성에 유의하면서 국제 금융시장의 변화가 금리, 자본 유출입, 환율 등의 경로를 통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김수헌 김경락 방준호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