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세·규제완화 탓 ‘빅 제로’…공화당·은행 각성해야”
“어떤 좋은 일도 일어나지 않았고, 어떤 낙관적인 기대도 현실화되지 않았다.”
지난해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는 2000년부터 올해까지 새천년의 첫 10년을 경제적 관점에서 볼 때 아무것도 이룬 게 없는 ‘빅 제로의 시대’였다고 규정했다.
그는 29일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에 기고한 ‘빅 제로’(The big zero)란 제목의 글에서 “지난 10년간 미국 고용시장에서는 일자리 증가가 거의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올해 12월의 취업자수는 10년 전보다 약간 많을 뿐”이라며 “민간 부문만 보면 취업자수는 오히려 줄었다”고 강조했다.
크루그먼은 또 전형적인 미국 가계의 실질소득도 지난 10년간 증가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미국 가계의 소득수준이 가장 높았던 2007년 이른바 ‘부시 붐’의 시기에조차 중간층 미국 가계의 실질소득은 1999년보다 적었다는 것이다.
주택 소유자나 주식 투자자 등도 지난 10년간 자산이득을 거의 얻지 못했다고 크루그먼은 밝혔다. 그는 “주택가격은 인플레이션을 감안할 경우 10년 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며 “2000년대 중반에 주택을 구입한 사람이라면 오히려 손실을 입었다”고 썼다. 그는 또 다우지수가 1999년 3월 사상 처음으로 1만선을 돌파하고, 이어 <다우 36000>이란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던 일을 상기시키면서 “10년이 지난 지금 다우지수는 1만520선에 불과하다”고 썼다. 크루그먼은 “결국 경제적 성장이나 성공 측면에서 지난 10년간 아무것도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결론지었다.
앞으로 올 10년은 희망을 가져도 좋을까? 크루그먼은 재앙을 불러일으킨 감세·규제완화 정책을 여전히 주장하는 공화당과, 보너스 잔치를 중단하지 않으려는 은행을 거론하면서 “미국인들이 실수로부터 교훈을 얻을 생각을 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놀랍다”고 지적했다. 그는 앞으로 10년이 또 다른 ‘빅 제로’가 될지 더 나은 10년이 될지는 지켜봐야할 것이라고 썼다.
정남구 기자 je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