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한중일’ 논의 제기…세계경제 25% 차지
오는 24~25일 타이 후아힌에서 열리는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아세안과 한·중·일을 포괄하는 거대 자유무역지대를 만들자는 논의가 부상하고 있다.
아시아가 금융위기에서 벗어나면서 이번 정상회의는 이 지역의 자유무역지대 수립을 둘러싼 ‘중국과 일본 사이의 경쟁’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22일 보도했다.
지난 10일 한·중·일 정상회의 뒤 3국의 지도자들은 이 지역에서 보다 깊은 무역관계를 수립하는 구상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동아시아공동체’를 내세우며 집권한 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총리는 인도·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를 포함하는 경제협력체의 맹아가 될 아세안+3 정상회의 그룹이 유럽연합과 같은 형태의 무역블록을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세계경제에서 이 지역의 비중은 지난해 25%를 차지한다.
중국,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한국 등은 아세안과 자유무역협정을 맺었거나 현재 진행중이어서, 모두를 포괄하는 자유무역지대 형성은 전혀 불가능한 구상이 아니다. 이런 논의에 대해 중국은 일단 조심스런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본 외교관들은 한·중·일 정상회의 뒤 중국 쪽이 무역지대 확장에 소극적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다. 로돌포 세베리노 전 아세안 사무총장은 “이 지역에서 중국의 역할은 강화되고 있다”며 중국의 자세에 따라 아시아무역지대 성사가 좌우될 것임을 시사했다.
이 논의는 오히려 미국이 촉각을 세우며 적극적으로 달려드는 모양새다.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올해 여름 미국이 자카르타에 주재하는 아세안 주재 대사를 임명할 것이라고 밝혔고,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내달 미국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아세안 지도자들과 정상회의를 갖는다. 미 상원외교위의 공화당 간사인 리처드 루가 의원은 미국이 아세안과 자유무역협정을 맺어야 한다고 오바마 행정부에 촉구하고 있다.
정의길 선임기자 Egi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