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주택 전국 평균가격
경기회복과 신용경색 해소를 위해 풀어놓은 막대한 자금이 ‘새로운 위기’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지만, 대부분의 나라는 여전히 자산시장의 회복에 목매고 있다. 하지만 영국과 브라질은 각각 주택담보대출을 규제하고, 외국인 투자에 과세를 하는 방식으로 자산시장의 새로운 거품을 차단하기 위해 나섰다. 주택대출 문턱 높여 ‘거품 누르고’
영국|소득증빙 없는 모기지 상품 판매 금지 영국 정부가 ‘뜻밖의’ 정책을 내놨다. 폭락했던 부동산시장의 회복이 경제회복의 필요조건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정작 영국 금융감독청(FSA)은 앞으로 대출자의 소득 증빙이 필요 없는 모기지(주택담보대출) 상품의 판매를 금지하겠다고 19일 발표했다. 부동산시장의 회복보다 ‘제2의 거품’ 방지를 우선하겠다는 뜻이다. 금융감독청은 “돈을 갚을 수 있는 사람들에게만 은행들이 돈을 대출하도록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모기지 규제는 금융위기의 주범으로 높은 위험을 안고 있는 모기지 상품을 아예 시장에서 퇴출시키겠다는 정책 의지를 반영한다. 이자만 내다가 만기가 닥치면 대출 원금을 일시에 상환하는 모기지 상품도 그 위험성 때문에 판매가 금지된다. 금융감독청은 “규제가 모기지 대출 규모를 줄이겠지만, 더욱 책임 있는 대출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2007년까지 10년 동안 두 배나 급등했던 영국의 주택가격은 지난 2월까지 약 18개월 동안 20% 폭락했다. 하지만 최근 다섯 달 동안 7.5% 상승하는 등 다시 꿈틀거리고 있다. 영국의 온라인 부동산업체인 라이트무브는 10월 영국의 주택가격이 20개월 만에 최고치인 2.8% 상승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은 급속한 집값 상승은 “수요의 회복이라기보다 공급 부족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사상 최저 수준인 기준금리(0.5%)의 지속이 자칫 부동산 거품을 다시 키울 수 있다는 우려에 때맞춰 모기지 규제책이 나왔다. 하지만 한편에선 이번 정책이 ‘주택시장의 회복을 더디게 만들고, 경기 회복을 지연시킬 것’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외국인 투자에 과세 ‘투기 막고’
브라질|채권·주식 투자 금액의 2% 징수키로
브라질 증시 및 환율 추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