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 엔 리보금리 추이
리보금리 16년만에 역전…미 저금리정책으로 당분간 지속
엔과 금리차 작고 엔금리 낮아 미국발 자금 대이동 ‘글쎄’
엔과 금리차 작고 엔금리 낮아 미국발 자금 대이동 ‘글쎄’
16년만에 달러가 엔보다 ‘값싼 통화’가 됐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이달 들어 단기 자금흐름을 보여주는 주요 지표인 ‘3개월 리보’(런던은행간 금리)가 지난 1993년 5월 이후 처음으로 달러물이 엔물보다 낮아졌다며, “달러 캐리 시대가 열렸다”고 27일 보도했다. ‘달러 캐리’란 ‘엔 캐리 트레이드’에 맞선 용어로, 과거 국제금융시장에서 금리가 제로 수준인 엔화를 빌려 미국 국채나 유로화 등 다른 통화 자산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제는 거꾸로 달러화를 빌려 다른 통화를 사야하는 여건이 조성됐다는 것이다. 과거 ‘엔 캐리 트레이드’가 활발했을 때는 금리가 싼 엔화가 조달통화처럼 쓰여지기도 해 외환시장에서 엔화 매도 수요가 많아 엔화는 지속적인 하락세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3개월 달러 리보는 금융위기가 최고조에 이르렀던 지난해 10월에는 기록적인 4.81875%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지난 5일 0.37188%까지 떨어져 0.38813%를 기록한 3개월 엔 리보와 역전됐고, 26일 현재까지 이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달러화 시중금리가 떨어진 표면적인 이유는 미국이 연방기금 금리를 제로 수준으로까지 계속 떨어뜨렸기 때문이다. 또 금융위기 직후에는 시장 참가자들이 하나같이 안전자산인 달러화를 찾는 바람에 달러화 금리가 폭등할 수밖에 없었다. 최근 달러화 금리가 가라앉은 것은 이젠 숨을 돌리고, 반대로 달러화 대신 투자가치가 높은 금융자산으로 눈을 돌리기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신용경색이 완화되고, 세계경제도 자신감을 되찾는 신호로 해석된다. 무엇보다 재정적자, 의료보험 개혁을 위한 막대한 자금 수요, 10%에 육박하는 실업률 등으로 인해 미국 정부가 앞으로도 금리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밖에 없으리라는 전망이 달러화 금리하락을 더 부추기고 있다. 또 2010년 중간선거를 앞둔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금리인상에 보수적이 될 수밖에 없다. 경제가 나쁠 때, 선거를 앞두고 금리인상을 한다는 건 정치적으론 넌센스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현재의 ‘달러 캐리’ 시대가 이전의 ‘엔 캐리’ 시대와는 다른 양상을 띨 것으로 본다. 달러화와 엔화의 금리차가 미미한 수준이고, 달러화 뿐 아니라 엔화 금리도 무척 낮기 때문에 미국에서 막대한 자금이 일본으로 유입되는 그런 현상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본다. 또 일본도 경기침체를 벗어나지 못해 금리인상에 나설 계획은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