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국제경제

새 지엠 ‘굿 지엠’ 될까

등록 2009-07-10 19:44수정 2009-07-11 00:00

40일만에 회생절차 끝내
효율성·질 개선 등 과제
프리츠 헨더슨 제너럴모터스(GM) 최고경영자는 10일 디트로이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엠이 우량자산으로 재무장한 ‘새 지엠’(굿 지엠)으로 재탄생했다고 선언했다.

101년의 역사를 지닌 미국 최대 자동차 업체 제너럴모터스가 파산보호신청(챕터 11)을 한 지 40일 만에 회생절차를 마무리한 것이다. 지엠은 역시 파산보호신청을 냈다가 42일 만에 회생한 미국의 3대 자동차 기업 크라이슬러보다 빠른 회생절차를 밟았다. 새 지엠이 떠안지 않은 자산과 부채는 법정 안에서 계속 조정 과정을 겪게 된다.

이로써 새 지엠이 떠안은 부채는 파산 전 1760억달러에서 480억달러로 3분의 1가량에 불과하다. 시보레·캐딜락·뷰익·지엠시 등의 브랜드는 계속 생산하지만, 허머·새턴·사브·폰티액은 폐쇄하거나 매각한다. 지난해 말 9만1000명이던 지엠의 미국 내 고용인원은 이제 6만8500명으로 감소한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보도했다. 2007년까지 무려 77년 동안 세계 1위의 자동차 기업으로 군림해왔던 지엠의 덩치는 크게 줄었다.

새 지엠의 최대주주는 61%의 지분을 지닌 미국 연방정부다. 나머지 대주주는 지엠에 90억달러의 공적자금을 지원한 캐나다 정부(12%)와 미국 자동차노조(UAW·17.5%)다. 미국 정부가 올 연말까지 지엠에 투입할 구제금융은 총 500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헨더슨 최고경영자는 “우리는 지엠이 아주 드문 두번째 기회를 얻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새 지엠은 고객에 대해 더 빨리 응답하고 더 책임감 있는 기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새 지엠이 잘 굴러갈까? <에이피>(AP) 통신은 “거대한 비용 감축에도 불구하고, 새 지엠은 효율성과 질을 개선시켜 사람들이 사고 싶은 자동차를 생산해야만 한다”고 지적했다. 자신을 몰락으로 이끌었던 이런 숙제를 지엠이 단기간에 풀긴 쉽지 않을 전망이다.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2.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3.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전운 감도는 가자…네타냐후 “석방 안 하면 하마스 패배 때까지 전쟁 재개” 4.

전운 감도는 가자…네타냐후 “석방 안 하면 하마스 패배 때까지 전쟁 재개”

‘2주째 지진’ 산토리니 주민 대탈출 사태 [유레카] 5.

‘2주째 지진’ 산토리니 주민 대탈출 사태 [유레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