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부도 위기에 몰렸던 파키스탄이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으로 한 숨을 돌릴 수 있게 됐다.
가토 다카토시 국제통화기금(IMF) 부총재는 24일(현지시각) 성명을 통해 "파키스탄의 경제는 치안불안과 석유 및 식량 가격 폭등,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전방위의 타격을 입었다"며 "IMF는 이에 따라 23개월간 76억달러의 자금을 지원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파키스탄은 IMF로부터 당장 필요한 결제자금 등 31억달러를 수혈받아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황을 피할 수 있게 됐다. 나머지 자금은 파키스탄 경제상황에 따라 추후 차례로 지원된다.
IMF는 이어 "파키스탄 중앙은행은 유연한 환율 정책을 유지할 것이며 외환보유액 목표치를 채우는 한편 과도한 환율 급변동을 완화하도록 환 시장 개입이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성명은 "구제금융 프로그램은 우선 파키스탄 경제 안정과 함께 거시경제 정책조율을 통한 신뢰 회복 그리고 사회적 안정과 빈민 지원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최근 몇 년간 계속된 정치 및 치안 불안을 겪었던 파키스탄은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 속에 급격한 외환보유액 감소를 경험했다.
급격한 외환 보유액 감소로 국가 부도 위기에 처했던 파키스탄 정부는 혹독한 이행조건이 뒤따르는 IMF 구제금융을 피하기 위해 중국과 사우디아라비아 등 우방들에 지원을 요청했었다.
IMF는 "파키스탄은 앞으로 재정 적자를 공격적으로 줄일 것이며, 중앙은행의 재정 대출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파키스탄이 테러와의 전쟁 중임을 감안해 당초 예상됐던 대규모 국방예산 삭감 등 내용은 이행 조건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국제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지난달 6일 대외 유동성 포지션 악화를 이유로 파키스탄의 국가 신용등급을 'B'에서 'CCC+'로 낮췄고, 구제금융 논의가 지연되자 지난 14일 또다시 등급을 'CCC'로 하향 조정했다. (뉴델리=연합뉴스)
한편, 국제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지난달 6일 대외 유동성 포지션 악화를 이유로 파키스탄의 국가 신용등급을 'B'에서 'CCC+'로 낮췄고, 구제금융 논의가 지연되자 지난 14일 또다시 등급을 'CCC'로 하향 조정했다. (뉴델리=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