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재정위기 대책 분주
트리셰 유럽 중앙은행 총재
채권매입 재개 가능성도 시사
트리셰 유럽 중앙은행 총재
채권매입 재개 가능성도 시사
“국가부채 위기가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밖으로 확산되고 있다.”
조제 마누엘 바호주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4일(현지시각) 유럽연합 27개 회원국 정상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작정한 듯 꺼낸 말이다. 위기 확산을 막기 위해선 구제금융을 위한 기금도 대폭 늘리고 더 과감한 조처들을 취해야 한다는 경고음이다.
바호주 위원장의 진단처럼 유로존의 재정위기는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유로존 ‘주변국’으로 불려온 그리스·아일랜드·포르투갈은 물론, 유럽의 3·4위 경제대국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국채 수익률도 유로화 출범 이후 사상 최대치인 6%대를 웃돌아 국가부도 수위(7%대)에 근접하고 있다. 2년 동안 전력을 기울였지만 유럽의 재정위기가 잦아들지 않는 까닭은 무엇일까. 영국 <비비시>(BBC) 방송은 5일 “유로라는 단일 통화를 쓰면서도 유로존 참여 국가들이 통일된 목소리를 내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유로존 국가들은 재정위기 이후 자국의 경제 형편에 따라 서로 다른 해법을 내놓고 있다. 위기에 처한 국가들은 구제금융 지원에 쓰이는 유럽재정안정기금(EFSF)의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지만, 독일과 네덜란드·핀란드 등 재정이 탄탄한 국가들 사이에선 “유럽연합이 과도한 채무를 진 말단부 국가들에 돈을 대주는 ‘송금 연합’(Transfer Union)이 돼가고 있다”(틸로 자라친 전 독일 분데스방크 이사)며 반기를 들고 있다.
하지만 위기가 심화되면서 장클로드 트리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4일 “유로존 금융시장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오는 11일부터 6개월 만기의 특별 유동성을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3월 이후 사실상 중단했던 역내 채권 매입을 재개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어 올리 렌 유럽 경제·통화 담당 집행위원은 5일 기자간담회에서 그리스 구제금융의 이행 등 유로존 정상들이 지난달 합의한 위기 확산 방지 조처들이 “9월 초까지 최종 마무리될 것”이라며 시장 우려 달래기에 나섰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