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hani.co.kr/section-kisa/2005/06/03/00710000512005060302480993.jpg)
‘통화동맹 붕괴설’ 고개
EU지도자들 진화 나서 ‘통합 유럽’에 대한 우려가 ‘유로화 존폐 위기’로 번지면서 유럽연합 주축국들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유럽의 주요 언론들은 유럽헌법 비준 거부 사태가 유럽 경제통합의 뼈대인 유럽통화동맹(EMU)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시나리오를 연일 주요 기사로 다루고 있다. 지난 1일 독일 주간지 <스턴>이 정부와 의회가 통화동맹을 떠날 권리를 입법화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라고 보도한 데 이어, 2일에는 최대 일간지 <빌트>가 ‘다시 마르크화로 되돌아가는가?’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회원국들이 동맹을 떠날 수 있는 경우와 근거들을 조목조목 소개했다. 또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는 독일 의회 보고서와 법원 판례 등을 인용해 “독일이 유로화 체제를 이탈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분석 기사를 실었다. 독일과 유럽연합 지도자들은 적극 진화에 나섰다. 한스 아이헬 독 재무장관은 이날 통화동맹 붕괴에 대비하고 있다는 보도를 전면 부인하면서 “(그런 주장은) 엄청난 넌센스다. 거짓 사실에 근거해 혼란을 조장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며 강하게 반박했다. 그는 “(유럽헌법 비준 거부로) 유로화가 시련을 겪고 있는 게 사실”이기는 하나 “기존 체제에서도 통화동맹은 유지될 수 있으며 위기라고 보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장 클로드 트리셰 유럽중앙은행 총재도 “(통화동맹 위기의 근거로 거론되는) 동맹국간 성장 및 물가의 차이는 미국 내 주별 격차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고 거들었다. 그러나 유로화 가치는 더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 ‘통화동맹 위기론’이 쉽게 가시지 않을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유로화 약세 요인으로 △미국의 약달러 정책에 따른 유로화의 상대적 고평가 △미국과의 금리 격차로 인한 역내 자금 유입의 어려움 △수년간의 경제성장 부진과 펀더멘털 약화 등을 꼽는다. 현재 1유로당 1.22달러 수준에서 머잖아 ‘1유로=1달러’ 수준까지 떨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모건스탠리는 “(유로화 가치 하락의) 방향성은 정해졌고 그 속도와 폭이 문제”라고 전망했다. 김회승 기자 honesty@hani.co.kr
EU지도자들 진화 나서 ‘통합 유럽’에 대한 우려가 ‘유로화 존폐 위기’로 번지면서 유럽연합 주축국들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유럽의 주요 언론들은 유럽헌법 비준 거부 사태가 유럽 경제통합의 뼈대인 유럽통화동맹(EMU)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시나리오를 연일 주요 기사로 다루고 있다. 지난 1일 독일 주간지 <스턴>이 정부와 의회가 통화동맹을 떠날 권리를 입법화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라고 보도한 데 이어, 2일에는 최대 일간지 <빌트>가 ‘다시 마르크화로 되돌아가는가?’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회원국들이 동맹을 떠날 수 있는 경우와 근거들을 조목조목 소개했다. 또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는 독일 의회 보고서와 법원 판례 등을 인용해 “독일이 유로화 체제를 이탈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분석 기사를 실었다. 독일과 유럽연합 지도자들은 적극 진화에 나섰다. 한스 아이헬 독 재무장관은 이날 통화동맹 붕괴에 대비하고 있다는 보도를 전면 부인하면서 “(그런 주장은) 엄청난 넌센스다. 거짓 사실에 근거해 혼란을 조장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며 강하게 반박했다. 그는 “(유럽헌법 비준 거부로) 유로화가 시련을 겪고 있는 게 사실”이기는 하나 “기존 체제에서도 통화동맹은 유지될 수 있으며 위기라고 보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장 클로드 트리셰 유럽중앙은행 총재도 “(통화동맹 위기의 근거로 거론되는) 동맹국간 성장 및 물가의 차이는 미국 내 주별 격차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고 거들었다. 그러나 유로화 가치는 더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 ‘통화동맹 위기론’이 쉽게 가시지 않을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유로화 약세 요인으로 △미국의 약달러 정책에 따른 유로화의 상대적 고평가 △미국과의 금리 격차로 인한 역내 자금 유입의 어려움 △수년간의 경제성장 부진과 펀더멘털 약화 등을 꼽는다. 현재 1유로당 1.22달러 수준에서 머잖아 ‘1유로=1달러’ 수준까지 떨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모건스탠리는 “(유로화 가치 하락의) 방향성은 정해졌고 그 속도와 폭이 문제”라고 전망했다. 김회승 기자 hon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