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덴마크서 물레방아·거름·우유 등 활용 생산 활발
고유가와 지구온난화 등으로 지역 단위에서 전기를 직접 만들어 쓰는 ‘풀뿌리 발전소’가 주목받고 있다고 시사주간 <뉴스위크>가 최근호에서 보도했다.
90년대부터 풍력·태양열 발전시설을 대거 들여와, 지금은 화석에너지와 결별한 독일 남부의 프라이암트 마을이 대표적인 예다. 이곳 주민들은 저마다 돈을 조금씩 모아 80m 높이의 풍력발전 풍차 4기를 구입했다. 270가구는 지붕에 가정용 태양열 집열기를 달았다. 물을 끼고 있는 제재소와 빵집에선 구형 물레방아를 설치했다. 한 농민은 날씨와 무관하게 쓸 수 있는 바이오가스 시설에 투자했다. 거름이나 왕겨를 메탄가스로 바꿔 전력 발전에 이용하는 설비다. 발전과정에서 생성되는 열에너지도 그냥 방출시키지 않고, 이를 인근 가정에 난방·온수용으로 공급했다. 젖소 50마리에서 짜낸 우유의 온기로 집에서 쓰는 물을 데운 ‘창의적’인 주민도 있었다. 결국 오늘날 프라이암트 주민들은 전력에서의 자급자족을 실현한 데 이어, 지난해 쓰고 남은 전력을 국가 전력망에 팔기도 했다. 잔량이지만, 200가구는 족히 쓸 수 있는 분량이었다.
이런 소형발전 시설은 2006년 전세계 전기생산량의 16%를 생산해, 핵발전소의 발전량을 제친 것으로 나타났다. 해마다 새로 들어서는 발전시설 가운데 3분의 1 가량은 소형인 것으로 추정된다. 너도나도 소형발전의 높은 효율성에 주목한 까닭이다. 대형 발전시설 가운데 화석연료 발전소는 전체 방출 에너지의 30%만이 실제 전력으로 사용된다. 반면, 소형 발전시설의 효율은 90%까지 이르기도 한다. 생산 과정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도 활용하고, 송전 과정의 전력 손실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소형발전 확대의 일등공신은 정부 지원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효율을 자랑하는 덴마크는 80년대부터 폐열발전을 권장했다. 증기를 이용해 전력 생산과 난방을 병행하는 방식이다. 90년대엔 소형 발전시설이 생산한 전기에 보조금을 지급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덴마크에서 쓰이는 전력 가운데 대형 발전소가 공급하는 전력은 3분의 1에도 못 미친다. 독일은 2004년 보조금 제도를 도입한 뒤, 3년 동안 가정·직장 40만곳에서 도입한 태양에너지 발전 설비가 6개의 대형 발전소를 대체했다. 현재 독일은 태양 에너지 부문에서 으뜸 가는 수준에 올랐다.
프라이암트의 예에서 보듯이, 몇몇 나라에서는 정부기관이 그동안 독점했던 전력망을 개방해 누구나 전력을 판매·유통할 수 있도록 했다. 덕분에 소형 발전시설로 전기를 충분히 쓴 뒤, 남는 전기는 팔 수도 있게 됐다. 정부 지원이 발전 설비와 시설의 기술력 향상으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기대감도 크다. 중국, 인도, 아프리카 지역 등 전력 공급이 원활치 않은 개발도상국에 진출 가능성을 눈여겨보는 이들도 많다.
전세계적으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대형 발전시설의 전기 공급량은 67%에 이른다. 지난해 12월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0년까지 가더라도, 소형 발전시설의 에너지 공급은 전체의 20% 미만일 것으로 내다봤다. 초기 비용이 규모에 비해 비현실적일만큼 크다는 것도 무시할 수 없는 단점이다. 때문에 현재로선 정부의 지원 보조금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기술적 발전이 아직 미흡해, 보조금만 낭비하게 될 것이란 회의론도 나온다. 전력을 직접 생산해서 공급하자는 발상이 새로운 것은 아니다. 전구를 발명한 토머스 에디슨도 일찌기 폐열발전 시설을 집집마다 구비하는 주거문화나, 가정용 풍력발전을 이용한 전력 자가공급을 구상했다. ‘안전한 저압 전류’를 주장한 발명가의 발상이었다. 그러나 ‘25만개의 전구를 한꺼번에 켤 수 있는’ 효율을 앞세운 조지 웨스팅하우스의 고압 교류전류 송전이 표준화되면서, 전기공급은 중앙공급 형태로 성장해왔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전세계적으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대형 발전시설의 전기 공급량은 67%에 이른다. 지난해 12월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0년까지 가더라도, 소형 발전시설의 에너지 공급은 전체의 20% 미만일 것으로 내다봤다. 초기 비용이 규모에 비해 비현실적일만큼 크다는 것도 무시할 수 없는 단점이다. 때문에 현재로선 정부의 지원 보조금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기술적 발전이 아직 미흡해, 보조금만 낭비하게 될 것이란 회의론도 나온다. 전력을 직접 생산해서 공급하자는 발상이 새로운 것은 아니다. 전구를 발명한 토머스 에디슨도 일찌기 폐열발전 시설을 집집마다 구비하는 주거문화나, 가정용 풍력발전을 이용한 전력 자가공급을 구상했다. ‘안전한 저압 전류’를 주장한 발명가의 발상이었다. 그러나 ‘25만개의 전구를 한꺼번에 켤 수 있는’ 효율을 앞세운 조지 웨스팅하우스의 고압 교류전류 송전이 표준화되면서, 전기공급은 중앙공급 형태로 성장해왔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