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의 유엔주재 대사 세르기 키슬리챠가 23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 총회가 열리는 동안 자리를 지키고 있다. 뉴욕/로이터 연합뉴스
러시아군에 우크라이나에서 즉각 물러날 것을 요구하는 유엔 결의안이 압도적인 찬성으로 채택됐다.
유엔은 23일(현지시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한 돌을 맞아 미국 뉴욕 본부에서 열린 긴급 특별총회에서 이런 내용이 남긴 ‘우크라이나의 평화와 원칙에 관한 결의안’을 찬성 141표, 반대 7표. 기권 32표로 통과시켰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보도했다. 이번 표결 결과는 지난해 10월 러시아의 일방적인 우크라이나 4개주 합병 결정에 대한 반대결의안에 143개 나라가 찬성했던 것에서 거의 달라지지 않은 것이다. 유엔 총회 결의안은 구속력은 없지만, 국제사회가 압도적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에 반대한다는 사실을 드러냈다.
러시아와 함께 반대표를 던진 나라는 북한과 벨라루스, 시리아, 말리, 니카라과, 에리트리아였으며, 중국과 인도는 이번에도 기권했다.
유엔은 이번 결의안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영토의 점령과 합병 주장을 거부하고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의 완결성”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또 결의안은 러시아에 “국제적으로 인정된 국경선 안쪽의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모든 군사력을 즉시, 완전히, 무조건적으로 철수하라”고 요구했다.
표결은 앞서 이틀동안 회원국간 열띤 토론을 거친 뒤 이뤄진 것이다. 우크라이나 외교부 장관 드미트로 쿨레바는 토론에서 국제사회가 “선과 악” 사이에서 갈림길에 있다며 찬성표를 호소했다.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실장 안드리 예르마크는 표결 뒤 “정당한 이유없는 러시아의 침략 한 돌을 맞아 우크라이나 편에 서 준” 모두에게 감사하다고 사의를 표했다.
유엔주재 러시아 대사 바실리 네베자는 우크라이나를 “신나치”로 지칭하며 서방이 러시아를 패배시키고 패권을 유지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와 전세계를 전쟁의 심연에 밀어넣고 있다고 결의안에 반대했다.
이번 결의안에는 한국도 공동제안국 명단에 이름을 올렸고, 총회에서도 찬성표를 던졌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