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28일(현지시각)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고위급 협상 장소인 벨라루스의 고멜에 도착한 우크라이나 대표단이 헬리콥터에서 내리고 있다. 고멜/로이터 연합뉴스
러시아가 개전 7일째인 2일(현지시각) 사태 수습을 위한 2차 회담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우크라이나가 먼저 주요 도시들에 대한 공격을 멈춰야 한다고 요구해 회담이 성사될지는 불투명하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러시아 대통령궁) 대변인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오늘 오후, 늦은 오후에 우리 대표단이 우크라이나 협상단과 만나길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구체적 회담 장소나 의제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다.
러시아가 이같이 애매한 태도를 보인 것은 우크라이나가 회담의 전제 조건으로 러시아가 수도 키이우(키예프) 등 주요 도시에 대한 공세를 멈춰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일 “회담을 위해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도시들에 대한 폭격을 멈춰야 한다”고 밝혔다.
두 나라 고위 협상단은 이틀 전인 지난달 28일 우크라이나-벨라루스의 접경 지역 도시 고멜에서 만나 약 5시간 동안 회담했다. 회담 뒤 블라디미르 메딘스키 러시아 대통령실 보좌관은 “공통의 입장이 기대되는 어떤 사항들을 발견했다. 다음 회담은 며칠 내로 폴란드-벨라루스 국경에서 열자고 합의했다”고 여운을 남긴 바 있다.
우크라이나는 즉각적인 휴전과 군대의 철수를 요구하고 있지만, 러시아는 원하는 바를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오랫동안 우크라이나의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 포기와 중립화를 요구해왔고, 개전 후엔 사실상 항복을 뜻하는 ‘무기를 내려놓을 것’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정권의 제거를 뜻하는 ‘비나치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결사항전하고 있는 우크라이나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들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지난달 28일 철군을 위해선 △러시아의 안보 우려가 무조건적으로 존중되고 △(2014년 3월 합병한) 크림반도가 러시아의 영토로 인정받으며 △우크라이나 정부가 비나치화·비무장화되고 중립을 보장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