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유럽

러시아-우크라이나, 애정과 증오 사이

등록 2022-02-26 08:29수정 2022-02-26 10:34

[한겨레S] 다음주의 질문
가깝고도 먼 이웃나라
24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시민들이 “전쟁은 없다”는 손팻말을 들고 우크라이나 공격 반대 시위를 열고 있다. AP 연합뉴스
24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시민들이 “전쟁은 없다”는 손팻말을 들고 우크라이나 공격 반대 시위를 열고 있다. AP 연합뉴스

☞무료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bit.ly/319DiiE

통상 한-일 관계를 가리켜, 가깝고도 먼 관계라고 한다. 그러나 애증이 교차하는 이웃 국가들의 관계로 말하자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관계도 더하면 더했지 못할 건 없는 것 같다.

두 나라를 서로 떼어놓을 수 없는 역사적, 문화적 공동체라고 규정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주장은 너무 나간 정치적 프로파간다로 제쳐놓더라도, 국경을 맞댄 두 나라가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로 보인다.

실제 두 나라는 많은 사람들이 서로 섞여 살고 있다. 두 나라에 모두 친척들을 두고 있는 사람이 많아서 서로 왕래가 잦고, 우크라이나에서 공용어는 우크라이나어이지만 러시아어도 널리 통용된다고 한다.

국내에 영화로도 소개되어 널리 알려진 소설 <타라스 불바>(대장 부리바)의 작자인 니콜라이 고골과 소설 <거장과 마르가리타> 등을 남긴 미하일 불가코프는 우크라이나 출신이면서 러시아어로 작품 활동을 하며 문명을 떨쳤다.

정치권에서도 레닌과 함께 볼셰비키 혁명을 주도한 초대 소비에트 의장 레프 트로츠키와 60, 70년대 소련 최고 권력자였던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전 공산당 서기장이 우크라이나 출신이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현재 우크라이나어로 대중연설을 하지만, 애초 러시아어로 코미디언 재능을 발휘해 옛 소련 전역에서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두 나라 사이의 관계에는 어두운 그늘도 드리워 있다. 1932~33년 이오시프 스탈린 치하에서 우크라이나인 몇백만명이 기아로 숨진 참혹한 ‘홀로도모르’(기아 학살)가 벌어졌다.

우크라이나는 기름진 흑토지대가 넓게 펼쳐져 있어 유럽의 곡창으로 유명했지만, 당시 스탈린의 억압적인 집단농장화 추진과 탄압, 가혹한 수탈에 흉작이 겹쳐, 당시 3천만 인구 중 몇백만명이 굶어 죽었다. 이런 사실은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널리 알려졌으며, 이를 ‘집단학살’(제노사이드) 범죄로 규정하자는 주장도 제기됐다.

근래 들어 러시아가 2014년 우크라이나에서 대규모 시위로 친러 정권이 무너진 걸 빌미로 크림반도를 강제 합병한 것도, 두 나라 사이를 벌리는 원심력의 요인이다. 이는 우크라이나에서 한때 집권까지 했던 친러 정치세력이 2014년 이후 급격히 몰락의 길을 걸었다는 사실에서도 확인된다.

게다가 크림반도 병합은 엄연한 약속 위반이다. 우크라이나는 1994년 미국과 영국, 러시아와 ‘부다페스트 각서’를 체결해, 소련에서 물려받은 핵탄두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1800기를 모두 러시아로 넘기고, 그 대가로 주권과 영토를 보장받았다.

한반도 맥락에서 보면, 이런 약속 위반은 북핵 문제 해결에 악영향을 끼친다. 핵 폐기와 안전보장의 맞교환 방식은 한·미가 제시하는 북핵 해법의 원형이다. 이런 해법은 안전보장 약속이 지켜질 것이란 믿음이 없으면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웃과의 관계가 늘 좋을 순 없다. 그늘진 관계도 종종 불가피하기 때문에 가깝고도 먼 관계일 것이다. 그러나 자신의 이익을 위해 상대의 희생을 강요한다면, 그건 다른 얘기일 것이다.

푸틴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각) 전격적으로 우크라이나 침공을 단행했다. 과거 러시아를 위해 활동했던 우크라이나 출신 인사들은 이를 보며 어떤 마음일까.

박병수 국제부 선임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1.

트럼프 ‘호주 관세 예외’에 일본 “우리 철강·알루미늄도” 기대감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2.

‘누가 뭐래도 내가 실세’...트럼프 앉혀두고 오벌오피스에서 브리핑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3.

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대놓고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4.

D-30, 트럼프 철강 관세 실행 …BBC “한국도 영향 불가피”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5.

“이혼해도 가족”…데미 무어, 치매 브루스 윌리스 매주 찾아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