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의회가 23일(현지시각) 열려 국가비상사태선포안 등을 심의하고 있다. 키예프/로이터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의회가 23일(현지시각) 러시아의 침공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국가비상사태 선포를 승인했다.
우크라이나 의회는 이날 압도적인 찬성으로 정부가 제출한 국가비상사태 선포안을 의결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보도했다. 올렉시 다닐로프 우크라이나 안보국방위원회 서기는 의회 표결에 앞서 ”상황이 어렵지만 정부가 완벽히 통제하고 있다”며 의원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요청했다. 그는 “우리 정보기관은 물론 외국 파트너의 정보기관 정보를 보면, 우리나라를 점령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나라 국내상황을 혼란에 빠뜨리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이 명백하다”고 말했다.
국가비상사태가 선포되면 우크라이나 지방정부는 민간인에 대해 더 엄격한 신분확인, 통행차량의 검문검색, 야간 통행금지 등 강화된 보안조치를 취할 수 있다. 비상사태는 24일부터 30일간 친러시아 분리주의 세력이 장악한 동부 돈바스 지역을 제외한 우크라이나 전역에서 발효된다. 비상사태 기간은 상황에 따라 대통령의 결정으로 30일 더 연장될 수 있다.
비탈리 클리치코는 키예프 시장은 비상사태 선포로 “대규모 행사와 파업”이 우크라이나 전역에서 금지된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키예프에 들어오는 주요 간선도로에 검문소를 세우고 역과 공항에는 “특별 통제소”를 설치할 것이라며 “우리는 우리 집과 가족, 도시, 국가를 지키기 위해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러시아 국경에 적어도 15만명에 이르는 러시아군 병력이 배치된 가운데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에서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친러시아 분리주의 반군 사이에 교전이 잦아지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지난 나흘 동안 이 지역에서 장병 6명과 일반 시민 1명이 숨졌다고 밝혔다.
유럽안보협력회의(OSCE)에 따르면, 전투는 특히 루간스크 지역에서 격렬하게 벌어지고 있다. 루간스크 지역에서 23일 하루 1182건의 휴전 위반 사례가 보고됐다. 이는 도네츠크 지역보다 두 배 더 많은 것이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