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비밀리에 저강도 지하 핵실험을 실시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미 국무부가 주장하고 나섰다. 핵군축 문제가 미-중 갈등의 새로운 불씨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국무부가 중국이 비밀리에 저강도 지하 핵실험을 실시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부터 중국을 포괄하는 새로운 형식의 핵군축 협상 추진을 주장해 온 터라, 핵군축 문제가 미-중 갈등의 또다른 쟁점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15일(현지시각) 미 국무부의 보고서 내용을 따 “중국이 신장웨이우얼 자치구에 있는 뤄부포(현지명 롭누르) 핵실험장에서 일대에서 지난 1년 내내 굴착작업을 포함해 실험장 가동 준비작업으로 보이는 움직임이 포착됐다. 중국이 무수율 핵실험을 실시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미 국무부 쪽은 보고서에서 구체적인 증거는 제시하지 않았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무수율 실험’은 핵 탄두를 폭발시켰을 때 나타나는 연쇄반응은 없지만, 미량의 핵 에너지 방출을 동반하는 실험이다. 1996년 체결된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은 기존 핵 무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핵 활동만 예외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미국 쪽에선 중국이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핵탄두의 성능 향상을 위해 무수율 실험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신문은 이름을 밝히지 않은 고위 당국자의 말을 따 “중국이 보유 중인 핵무기를 개량하는 속도와 방식이 매우 우려스럽다. 중국은 핵 활동과 관련한 정보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고 있다. 중국도 세계적 차원의 핵 군축 체제에 들어와야 하는 이유”라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4월 미-러 간 체결한 신전략무기감축협정(뉴스타트) 대신 중국을 포함한 3자 핵군축 협정을 새롭게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내년 2월 만료되는 신전략무기감축협정은 미-러가 실전 배치 핵탄두를 1550개 이하로 감축하고, 지상·잠수함 배치 핵 미사일과 핵 미사일 탑재가 가능한 폭격기 등 운반 수단도 큰 폭으로 제한하는 내용이 뼈대다.
미국 쪽은 러시아도 기존 보유 핵무기의 성능 개량을 위해 북극권 노바야 젤랴 열도에서 무수율 실험을 실시하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로이터> 통신은 “코로나19 발생 원인에 대한 논란 속에 긴장감이 높아진 미-중 관계가 핵 문제로 더욱 꼬일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베이징/정인환 특파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