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중국

중국, 비트코인 ‘채굴’ 업체 전기 끊는다

등록 2018-01-09 17:15수정 2018-01-09 19:59

지난해 거래 중단 지시에 이어 채굴 금지
전기·토지·세금·환경 등 수단 적용할 듯
비트코인 채굴업체에서 컴퓨터를 통한 채굴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온라인매체 <쿼츠> 갈무리
비트코인 채굴업체에서 컴퓨터를 통한 채굴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온라인매체 <쿼츠> 갈무리
지난해 9월 대표적 가상화폐 비트코인의 거래 중단을 지시한 중국 당국이 이번엔 가상화폐 채굴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나섰다.

인터넷금융 감독 기구인 인터넷금융위험관리공작영도소조가 연초 관련 기관들에 공문을 보내 채굴 업체들의 ‘질서 있는 퇴출’을 유도하도록 지시한 사실이 9일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공개됐다. 2일치 공문은 “채굴 업체들이 막대한 자원을 소비하면서 투기를 조장했다”고 지적했다.

공문은 전기요금, 토지 이용, 세금, 환경 보호 등 구체적 퇴출 유도 수단을 제시했다. 앞서 <블룸버그>와 <로이터> 통신은 중국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전기 공급을 제한시키는 방식으로 채굴 업체들을 단속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비트코인 채굴은 대량의 컴퓨터가 동원되기 때문에 빠른 인터넷 환경과 저렴한 전기요금, 냉각에 유리한 환경이 중요한데 이런 조건을 와해시키겠다는 것이다.

이같은 방침은 그동안 채굴 업체 유치를 통해 ‘윈-윈’하려던 일부 지역의 시도에 찬물을 끼얹는 것이다. 신장위구르자치구와 네이멍구자치구 등 저개발 지역은 저가의 전기를 바탕으로 가상화폐 채굴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 쓰촨성과 윈난성의 대규모 수력발전소 인근에는 전기가 남아도는 발전소와의 직거래로 다수의 채굴 업체들이 생겨났다.

전기를 생산하는 중국 북부 및 서부로부터 산업단지가 밀집한 동부까지 전력을 보내는 고압 송전망이 올해 대거 완공돼 전국적으로 균질한 에너지 공급을 도모하고 있기 때문에, 단속과는 별개로 채굴 환경이 불리해진다는 전망도 나온다. 일부 채굴 업체들은 중국을 떠나 스웨덴, 캐나다, 싱가포르 등으로 옮기고 있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미국서 또 항공기 추락…어린이 환자 태운 채 주택가로 떨어져 1.

미국서 또 항공기 추락…어린이 환자 태운 채 주택가로 떨어져

‘여객기 충돌’ 미군 헬기, 고위직 대피 비밀훈련 중이었다 2.

‘여객기 충돌’ 미군 헬기, 고위직 대피 비밀훈련 중이었다

50년 전에 인간이 갔던 달, 왜 다시 못 가나 3.

50년 전에 인간이 갔던 달, 왜 다시 못 가나

백악관, 캐나다·멕시코·중국산 제품에 1일부터 관세 부과 공식 발표 4.

백악관, 캐나다·멕시코·중국산 제품에 1일부터 관세 부과 공식 발표

백악관 “불법체류 한국인 체포”…사진‧실명도 공개 5.

백악관 “불법체류 한국인 체포”…사진‧실명도 공개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