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한 뒤 악수하고 있따. 베이징/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9일 정상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북핵 문제의 해결을 위한 원론적인 공동노력을 강조했다.
이날 오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선 양국 정상회담과 확대정상회담, 기업가 면담에 이어 공동기자회견이 예정돼있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기업가 면담 뒤 잠시 북핵 문제를 언급하며 중국을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은 쉽고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중국을 압박하면서, "시 주석이 더 열심히 하기를 기대한다. 만약 그가 열심히 한다면, 성사될 것이다. 의심할 게 없다"고 말했다. 또 북한을 '깡패 나라'(rouge state)라고 부르면서, "모두가 이 깡패 나라가 다른 나라를 핵으로 위협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뒤이은 공동기자회견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문명국들은 북한이라는 위협적 존재에 대응해야 한다"면서, 안보리 결의의 이행 등 경제적 압박을 통해 북한이 "무자비하고 위험한 길"을 포기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모든 나라가 노력해 북한의 추가적 무장과 금융거래를 막아야 한다며, "북한 체제의 살인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 김정남의 살인 사건을 가리킨 것으로 보인다.
반면, 시진핑 주석은 한반도 핵문제와 관련한 중국 정부의 기본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한반도 비핵화 실현, 국제 핵 비확산 체계 유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관련결의의 엄격한 이행, 그리고 대화와 담판을 통한 해결 등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관련국들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소통과 협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공동기자회견은 별도의 공동성명 없이 각자 한 차례씩 발언권을 갖고 기자들의 질문을 받지 않은 채 마무리됐다. 공동기자회견에서 두 정상은 '동의했다'는 표현을 썼지만, 북핵 문제에 관한 입장은 원칙적인 입장이었다. 관심을 모았던 석유 수출 금지 등 추가조처에 대해서는 언급이 나오지 않았다. 8일 베이징에 도착해 방중 이틀째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리커창 총리와의 면담, 국빈 만찬 등을 앞둔 상태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