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30일 연설중인 추이톈카이 주미 중국대사. 주미중국대사관 누리집
북한의 6차 핵실험과 잇따른 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한국, 일본, 대만 등에서 전술핵 배치를 비롯한 핵무장 주장이 나오는 데 대해 중국이 분명한 반대의 뜻을 밝혔다.
추이톈카이 주미 중국대사는 지난 15일(현지시각)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뒤 주미 중국대사관에서 열린 건국 68주년 기념행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국과 일본 등이 전술핵 도입 등 핵무장을 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핵무기가 북한에 안전을 가져다주지 못하는 것처럼 한국과 일본에도 안전을 담보하지 못한다”고 말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이 16일 보도했다. 추이 대사는 “우리는 핵무기가 한반도 어디에든 존재하는 것에 확실히 반대한다”면서 “핵무기는 지역 정세를 악화시킬 뿐”이라고 말했다. 추이 대사는 또 중국은 한국의 북핵 등에 대한 우려를 이해하며 “우리는 중국의 안보 이익을 위태롭게 하지 않는 조건에서, 한국이 이런 우려들을 해결하도록 도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이 북한에 대한 원유 공급을 전면 중단해야 한다는 미국의 요구와 관련해, 추이 대사는 중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겠지만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라면서 거부했다.
그는 “미국은 (북핵·미사일) 문제를 중국에만 떠맡길 수는 없다”며 “미국이 지금보다 더 많은 일을 해야 진정으로 효과적인 국제 공조가 이뤄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미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기자들이 미국이 무엇을 해야 하느냐고 묻자 그는 “미국은 위협을 고조시키는 것을 삼가고, 대화와 협상을 재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찾기 위해 더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