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중국

중국 “사드 반입 한·미에 엄중 항의”…추가 보복 예고

등록 2017-04-26 17:12수정 2017-04-26 21:27

겅솽 외교부 대변인 “지역 평화·안정에 도움 안돼“ 반발
환구시보 “한국, 대선 전 배치 완료 어렵다는 말 뒤집어”
주한 미군이 26일 경북 성주군 초전면 성주골프장에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포대를 배치했다. 남김천IC를 빠져나와 성주골프장으로 향하는 사드 장비 차들의 모습이다. 원불교성주성지수호비상대책위원회 제공. 연합뉴스
주한 미군이 26일 경북 성주군 초전면 성주골프장에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포대를 배치했다. 남김천IC를 빠져나와 성주골프장으로 향하는 사드 장비 차들의 모습이다. 원불교성주성지수호비상대책위원회 제공. 연합뉴스
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주요 장비가 26일 성주골프장에 기습 반입되는 등 사드의 한국 배치 속도가 빨라지는 상황에 중국은 강하게 반발했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이 나오자 “우리는 이미 미·한에 엄중하게 항의했다”며 “미국과 한국이 한국에 사드 체계를 배치하는 것은 이 지역의 전략적 균형을 파괴하는 것이며, 지역의 긴장 형세를 한층 자극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겅 대변인은 “이는 한반도 비핵화와 지역 평화·안정에 도움이 안 되는 것이며, 각국의 대화·협상 노력과 배치되는 것”이라며 “지역 긴장을 고조시키고 중국의 전략 안보 이익에 손해를 주는 행위를 중단하고 사드 배치를 취소하고 관련 설비를 내보낼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사드 배치가 본격화하는 상황과 관련해 미국 쪽과 소통이 있었느냐는 질문에, 겅 대변인은 즉답을 피한 채 “이 문제와 관련한 중국의 입장은 미국도 잘 알 것”이라고만 답했다. 또 “중국은 필요한 조처를 취해 자신의 안보 이익을 지키겠다”며 보복성 조처를 시사했다.

중국 내에서는 관련 당국이 추가 조처를 취할 수 있다는 전망이 퍼지고 있다. 지난해 7월 한-미가 사드 배치를 결정한 이래, 롯데마트 영업 중단 외에도 한류 문화콘텐츠 제한, 한국 여행 제한 등 보복성으로 볼 수 있는 조처들이 이어졌다. 중국이 올해 들어서면서부터 지속적으로 발신해온 ‘사드 배치를 가속화하지는 말아달라’는 메시지도 이번 장비 기습 반입으로 사실상 수포로 돌아가면서, 중국이 대응 수위를 높일 가능성이 있다. 뤼차오 랴오닝사회과학원 조선(한)반도연구센터 연구원은 “한국은 중국과 관계 개선 기회를 잃었고, 차기 대통령은 대중국관계에서 큰 어려움을 물려받게 됐다”며 “중국의 군사적 보복조처와, 조선(북) 핵문제 관련 중·미·한 협력의 부정적 영향 등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사드 배치로 한국에 대한 중국 사회의 인식이 전반적으로 악화하면서, 한국 기업들의 중국 내 활동이 장기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베이징 무역업계 관계자는 “한국 제품에 충성도가 높았던 기업이나 소비자도 다른 쪽으로 눈을 돌리는 상황도 생기고 있다”며 “신규 거래선 확보는 물론, 기존 거래선의 유지 또는 회복도 힘들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스인훙 중국 인민대(국제관계학) 교수는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중국 정부가 추가 조처는 취하지 않을 것이다. 한다 해도 소용이 없다”며 “한국도 중국도 현재 외교 중심이 미국에 가 있어서, 둘 다 한-중 관계를 돌볼 겨를이 없다”고 말했다.

관영 <중앙텔레비전>(CCTV)과 <봉황텔레비전> 등 중국 뉴스 채널은 이날 사드 장비 반입 관련 상황을 시시각각 주요 소식으로 다루며 예의 주시했다. <환구시보>의 디지털판인 <환구망>은 “한국 국방부는 다음달 대선 전에 사드 배치를 완료하는 것은 객관적으로 어렵다는 얘기를 공개적으로 밝혀왔는데, 말과 행동이 다른 꼴이 됐다”고 비판했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단독] 린샤오쥔 ‘금’ 위해…중국 팀 동료 ‘밀어주기’ 반칙 정황 1.

[단독] 린샤오쥔 ‘금’ 위해…중국 팀 동료 ‘밀어주기’ 반칙 정황

한국, AG 첫날 금메달 7개 ‘콧노래’…2005·2006년생 ‘씽씽’ 2.

한국, AG 첫날 금메달 7개 ‘콧노래’…2005·2006년생 ‘씽씽’

500m 금 따고 통곡한 린샤오쥔…중국에 쇼트트랙 첫 금메달 3.

500m 금 따고 통곡한 린샤오쥔…중국에 쇼트트랙 첫 금메달

트럼프 “말도 안 되는 종이 빨대…플라스틱으로 돌아간다” 4.

트럼프 “말도 안 되는 종이 빨대…플라스틱으로 돌아간다”

“전쟁 반대…푸틴 감옥 가길” 러 가수, 압수수색 받다 추락사 5.

“전쟁 반대…푸틴 감옥 가길” 러 가수, 압수수색 받다 추락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